(왼쪽부터) 빈대인 부산은행장, 황윤철 경남은행장, 서현주 제주은행장/ 각 사
부산 경남 제주 등 3개 지방은행 수장들이 내년 3월 임기만료를 앞두고 있다. 연임과 교체 갈림길에 선 은행장들의 그간 행보와 성과에 대한 이목이 집중된다. 다만 지방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연임 교체 여부는 실적위주 평가보단 조직안정화와 기존 추진사업의 연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수익률 악화에 연임 가능성↓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그룹 빈대인 부산은행장과 황윤철 경남은행장의 임기가 내년 3월 종료된다.
빈대인 부산은행장은 1988년 부산은행에 입행해 비서팀장과 경영혁신부장, 사상공단지점장과 북부영업본부장을 거쳐 부행장으로 승진, 이후 부산은행장 직무대행을 맡다 2017년 9월 부산은행장에 선임됐다.
부산은행의 2019년 3분기 누적순이익은 3559억원으로 지난해(3731억원) 같은 기간보다 4.6% 줄었다. 다만 빈 은행장은 취임하기 전인 2016년 3분기(2759억원)보다 29%(800억원) 증가한 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 2017년 동아스틸 부실대출 사태와 전임행장 구속 등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순이익 개선에는 성공했지만 다소 부진한 실적이 연임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황윤철 경남은행장은 1980년 경남은행에 입행해 지역발전본부장, 마케팅본부장 등을 역임한 후 BNK금융지주 경영지원본부장과 전략재무본부장, 금융경영지원 총괄부문장(부사장)을 거쳐 2018년 경남은행장에 선임됐다.
경남은행의 2019년 3분기 누적순이익은 1626억원으로 전년(1698억원) 대비 4.2% 줄었다. 특히 황 은행장은 취임하기 전인 2017년 3분기(2013억원)보다 19.2%(387억원) 감소한 실적을 기록했다. 2018년 6월 금리입력 오류에 따른 금리 조작 논란으로 추락한 신뢰를 회복하고 있지만 이익이 해마다 급감하고 있어 연임을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한금융그룹 서현주 제주은행장의 임기도 내년 3월 종료된다.
서현주 제주은행장은 신한은행에서 영업기획 그룹장과 개인그룹장, 마케팅 그룹장을 거쳐 2018년 제주은행장으로 선임됐다.
제주은행의 2019년 3분기 누적순이익은 209억원으로 전년 대비 229억원보다 10%(20억원) 가량 감소했다. 서 행장이 취임하기 전인 2017년 3분기(227억원)와 비교하면 순이익은 8%(18억원) 줄었다. 계속되는 순이익 감소가 연임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분석이다.
◆조직안정화·기존 추진사업 연속성, 연임 변수 될 듯
일각에서는 순이익 감소의 원인이 금리인하와 지역경기 침체 등 외부변수인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연임이 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간 차기 행장 후보 선정 시 실적 위주의 평가가 계속됐지만 조직안정화와 기존 추진사업의 연속성이 은행장의 연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빈대인 부산은행장은 모바일앱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성장전략을 이끌어가고 있다. 부산은행은 모바일 앱 썸뱅크를 통한 비대면 서비스로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해 나가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는 부산시와 함께 모바일 기반 화폐 디지털 바우처 서비스를 출시해 간편결제 서비스와 연계할 계획이다.
황윤철 경남은행장은 디지털 금융환경과 지역 맞춤형 채널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경남은행은 지역의 소형점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직원 한명과 셀프뱅킹이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둔 디지털 브랜치로 변경하고 있다. 경남은행은 내년까지 은행의 8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부산은행은 지난해 기준 5명의 최고경영자 후보군을 두고 있다. 회장을 제외한 지주 사내이사와 감사담당 임원을 제외한 부사장 이상, 상임감사위원을 제외한 부산은행 사내이사, 부산은행 부행장 이상, 퇴직자를 포함한 그룹 임원 중 회장이 추천하는 자를 후보군으로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경남은행은 6명의 후보군을 두고 있다. 지난해 2월 최고경영자 후보군을 퇴직 5년 이내 부행장 이상으로 확대해 지주·은행 사내이사, 부사장, 부행장 이상, 그룹 전 현직 임원 등이 후보군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장 연임 교체여부는 실적평가와 함께 은행 내부사정과도 얽혀 있어 쉽게 예단할 수 없다"며 "선임절차가 본격화 되고 있는 만큼 빠른 시일 내 경기침체로 은행들이 수장 교체로 분위기 쇄신에 나설지, 기존사업 진행에 힘을 실어줄 지 방향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