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10개국 정상들은 26일 부산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를 마무리하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공동비전 성명' 및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공동의장 성명' 등을 채택했다. 2건의 성명 채택을 통해 한-아세안은 평화·번영·동반자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이를 통해 한-아세안은 지난 30년 협력 토대 위에 새로운 30년 역사를 더 깊은 우정으로 함께 써나갈 수 있다는 얘기기도 하다.
우선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공동비전 성명이다.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아세안간 협력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하고, 특별정상회의의 결과문서로서 '평화, 번영과 동반자 관계를 위한 한-아세안 공동 비전성명'을 채택했다. 이번 성명은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맞이해 한-아세안 관계의 지난 협력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미래 협력 방향에 대한 한-아세안 정상들 간의 합의된 비전을 담았다. 또 이번 성명은 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발전 방향으로서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구축'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청와대는 "성명은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맞이한 한-아세안 관계가 그간의 협력 성과를 기반으로 한층 더 심화·격상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 청사진을 제공할 것"이라고 이번 비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에 진행된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세션1 때 "나는 아세안과 한국이 지난 30년 협력의 토대 위에 새로운 30년 역사를 더 깊은 우정으로 함께 써나가길 희망한다"며 "새로운 30년, 우리는 '평화를 향해 동행하고, 모두를 위한 번영'을 함께 추구할 것이다. 한국은 '사람 중심의 포용, 혁신, 무역, 평화공동체'를 향한 여정에 아세안과 동행하고자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해 ▲사람 중심의 '포용' 공동체 ▲상생번영의 '혁신' 공동체 ▲공정하고 자유로운 '무역' 공동체 ▲한반도와 아시아 '평화' 공동체 구축을 구상하고 있음을 아세안 국가 정상들에게 공유했다.
다음은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공동의장 성명이다.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같은날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를 마무리하며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공동의장 성명'도 채택했다. 이번 성명은 정상회의를 공동 주재한 문 대통령·쁘라윳 태국 총리가 공동의장으로서 한-아세안 11개국을 대표해 발표했다. 이번 성명은 특별 정상회의 때의 논의 결과를 포함하는 한편, 정치·안보·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별 한-아세안 세부 협력 현황과 향후 계획 등을 망라했다. 정상들은 한-아세안 교역 확대를 위해 한-아세안 FTA 활용을 포함, 상호 관심분야에서 공동 번영을 위해 노력해나가기로 했고, 최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문안 협상 타결을 환영했다. 특히 한국은 오는 2022년까지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무상원조를 2배 이상 증액해나가기로 했고, 한-아세안 협력기금 또한 2배로 증액하여 아세안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를 지속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이번 공동의장 성명 관련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구축'이라는 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미래 협력의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청와대에 따르면, 공동비전 성명은 한-아세안 정상간 논의를 방향 및 분야 설정 위주로 간결하게 작성된 문서인 반면, 공동의장 성명은 한-아세안 정상간 논의 결과 및 협력 계획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 문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