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사계절이 원만하다면



팔자 여덟 글자의 오행과 음양의 구성이 조화로우면 대체로 평탄한 삶을 살아간다. 사계절이 원만하다 하여 인생사 평지풍파가 적다. 그렇다 해도 운에서 재살이나 겁살 백호살이 있게 되면 사건 사고에 휘둘리는데 인생의 전도를 살핀다는 것은 매우 세밀한 감명이 요구되는 이유다.

대운과 세운의 들고 남과 십이운성의 펼쳐짐도 함께 조합하여 판명해야 하니 팔자 감명은 방정식으로 치자면 최소 삼차방정식 이상의 함수 방정식인 것이다. 살아가면서 장애가 연속하여 나타나는 것은 대부분 운이 하강 운세일 때이다.

인생이란 것이 좋을 때와 어려울 때가 교차하는 것임을 감안한다면 이럴 때를 대비하여 평소에 복덕을 쌓아야 한다고 옛 어른들이나 선지식들은 한결같이 얘기한다. 복덕을 쌓는다는 것이 뭐 그리 대단히 큰 선행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밥때 되어 찾아온 사람에게는 밥상을 나누고 목마른 사람이 물을 청하면 물 한 그릇 대접하는 것이 복덕인 것이다. 누군가 넘어지면 달려가 일으켜 세워주고 공연히 남의 뒷말을 하지 않는 이런 일들이 복덕의 근간이 되는 것임을 잘 모르는 것 같다.

요즘이야 남의 집 방문하는 일이 드물고 친척 간에도 밖에서 만나 음식 대접하는 게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이다. 공짜 밥 얻어먹는 것을 즐기지 않고 되도록 밥값을 먼저 내려는 마음은 만난 사람에게 밥상을 차려내는 것과 같은 의미일 것이다.

일상생활에서의 소소한 선업이 쌓이면 그 자체가 하나의 견고한 성이 되기 때문에 장애가 그 성벽을 함부로 넘보지 못한다. 장애가 찾아올 때는 보통은 생각과 기도로써 힘을 얻듯이 평상시 작정 기도를 하게 되면 일종의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팔자에 재살이나 겁살 망신살과 같은 조심해야 할 신살이 있는 사람들은 평상시의 소소한 선업 쌓기를 하라. 또는 7일 21일 백일기도와 같은 작정 기도도 권해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