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공짜에 맛 들기 시작하면 쉽게 망가진다. 한번 망가진 사람을 고치긴 정말 힘들다." 어떤 분이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한 말이다.
필자도 "세상에 공짜는 없다. 그러니 공짜라고 좋아하지 마라." 이론에 매우 공감이 갔다. 아들의 결혼을 앞두고 돈을 문제 삼는 모친의 얘기를 한 적이 있다. 모친은 곧 정년퇴직을 앞둔 공무원이었다. 한 삼사 년 전에 승진 여부를 물으러 상담을 온 적이 있었다.
당시의 운은 "노"였다. 그러나 그다음 해에는 승진이 될 수도 있으나 한두 가지 신경 쓸 일을 잘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말대로 승진에서 빠지자 그다음 해의 승진은 놓치고 싶지 않다면서 다시 찾아왔었다. 그 후 정년을 2, 3년 남짓 앞둔 상황에서 원하는 승진을 하게 된 것이다.
직장생활은 얼마 남지 않았지만 무엇보다도 승진하게 되면 퇴직금 산정이 상향되니 꼭 승진해야겠다는 의지는 아주 순수했다. 그런데 여인은 더 빨리 승진이 될 수 있는 운도 있었다. 그 세월까지 중간 직급까지 가지 못했다는 것은 분명 주변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선명해 보였다.
사주에 뚜렷한 편재성과 관성(官性)으로 인해 직장생활과 같은 조직 생활을 하면서 돈을 버는 일에 관심이 많았다. 익히 짐작이 가는 바였지만 인수가 충을 맞는 형국으로써 주변의 인심을 얻지 못했다. 사소한 욕심을 부리는 까닭이다. 인수성이 좋은 사람들은 재물이 생겨도 일부 남과 나누거나 주는 것에서 마음의 만족을 얻는다.
충이나 형을 받거나 하면 자기 천 원 쓰는 것도 아까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들의 특징은 공짜라면 염치를 살피지 않는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직장 동료들로부터 인심을 잃을 수밖에 없어 외롭다. 왜냐하면 재성(財性)은 관성을 도와주기 때문에 재물과 명예가 상호보완 협조한다.
남에게 베풀지 않으면 인수성(印綬性)이 힘을 얻지 못하게 되어 인색하고 덕이 없다는 소리를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