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남북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예상시기는 20년 이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서울시는 만 19세~69세 시민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남북교류협력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전체 응답자의 74.2%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40대가 78.6%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66.0%로 가장 낮았다.
통일 예상 시기는 20년 이내라는 응답이 25.6%로 가장 많았다. 30년 이상이 20.2%로 뒤를 이었다. 불가능하다는 의견은 17.0%에 그쳤다.
통일 후 기대되는 사회문제 개선 분야로는 경제성장률이 35.4%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이념 갈등(31.3%), 실업률(18.8%) 순이었다.
남북관계 전망을 묻는 말에 39.5%가 좋아질 것이라 답했다. 48.2%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머지 12.4%는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5년 이내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9%가 낮다고 답했다. 또 조사 대상자의 71.1%는 향후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서울시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57.2%로 작년(43.8%)보다 13.4%포인트 늘었다. 시민의 64.9%는 서울시 차원의 남북교류 협력사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울시 남북교류 협력사업 중 가장 우선해야 할 정책으로는 사회문화교류(30.1%)를 가장 많이 꼽았다. 경제·산업(20.1%), 도시 인프라(20.1%), 보건(14.7%)이 뒤를 이었다.
2032 서울-평양 하계 올림픽 공동개최에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61.8%로, 지난해(70.2%)보다 8.4%포인트 줄었다. 사회문화 교류·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 같아서(41.0%), 남북간 군사적 긴장해소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서(28.9%), 한반도 내 평화적인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을 것 같아서(18.7%), 경제적 효과가 클 것 같아서(11.3%)를 지지 이유로 들었다.
반면 정치·군사적 문제 미해결시 대화·협력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해서(41.4%), 북한체제 특성상 지속적인 대화·협력이 어려울 것 같아서(27.7%), 북한과 공동 올림픽을 개최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16.4%), 올림픽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부담(13.9%)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이들도 있었다.
응답자의 56.6%는 정치·군사적 상황과 분리해 인도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시민 83.1%는 통일 및 남북관계 인식차이로 인한 우리나라 내부의 갈등이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황방열 남북협력추진단장은 "경색된 남북관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지난해와 동일한 수치로 나타나는 등 서울시민의 남북관계 개선의지가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2020년은 대내·외 정세가 한층 불투명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서울시는 내년에도 남북교류 현안사업을 차근차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