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 '90 클러스터'는 볼보를 대표하는 모델이다. (왼쪽부터) V90 크로스컨트리, XC90, S90. /볼보
볼보는 올해 수입차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브랜드다. 차량을 구매하고 인도받으려면 족히 몇개월을 기다려야 할 정도다.
이 같은 인기 비결로는 모던한 외관과 안전성, 럭셔리한 편의 기능이 꼽힌다. 동급 차량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도 높다.
볼보 S90은 '쇼퍼 드리븐카'로 뒷좌석에 다양한 편의 기능을 넣었다. /볼보
볼보의 진가는 플래그십 라인업 '90 클러스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S90과 XC90이 주인공이다. 2개 모델을 타고 시내와 고속도로를 아우르는 수십㎞를 직접 달려봤다.
S90 엑설런스는 90클러스터 중에서도 볼보의 최첨단 기술을 집약한 모델이다. 볼보는 '쇼퍼 드리븐카'를 콘셉트로 독립식 리클라이닝 시트와 전용 나파 레더 컴포트 시트 등 뒷좌석 착좌감을 높였을 뿐 아니라 16ℓ 냉장고와 230V 전원 콘센트, LED 조명 등을 탑재해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볼보 S90에 탑재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더 안락하고 즐거운 주행을 가능케 했다. /볼보
그렇다고 운전석이 기사를 위해 만들어지지는 않았다. 뒷좌석 못지 않은 편의 기능에 업그레이드된 주행 성능으로 오너 드리븐 카로도 손색이 없게 만들었다.
핵심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이다. 직렬 4기통 터보 가솔린 엔진에 전기모터를 조합한 '드라이브 E 파워트레인'이다. 최고출력이 엔진에서만 318마력에 모터에서 87마력을 추가한다.
최대 토크도 40.8㎏·m 에 달한다. 저속에서는 전기 모터가 최대 24.5㎏·m 토크로 조용하고 매끄럽게 출발하는데, 속도를 올리면 강력한 엔진이 힘을 합쳐 2185㎏의 차체를 부드럽게 끌어준다.
복합연비는 10.8㎞/ℓ로 PHEV 치고는 다소 낮은 수치다. 다만 실제로는 공인 연비보다는 다소 나은 수준을 보여준다. 전기모터만으로도 28㎞를 달릴 수 있다.
XC90은 지난 10월 부분변경을 통해 더욱 탄탄하고 미려해졌다. 4인승 모델의 경우 S90을 넘어서는 편의 기능을 탑재해 럭셔리 SUV 진가를 확인해준다.
볼보 XC90은 안전과 편의, 럭셔리까지 잡은 최고 인기 대형 SUV다. /볼보
파워트레인도 최상급 모델에서는 S90과 같이 PHEV로 바꿨다. 다만 이날 시승한 모델은 트윈터보 디젤 엔진을 장착한 D5 모델이다.
인기가 떨어지긴 했지만, 볼보가 만든 디젤 엔진은 여전히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 최대토크가 48.9㎏·m이나 되어 2160㎏ 차체를 간단하게 밀었다. 최고출력이 235마력에 불과하긴 하지만, 안정적으로 달리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공통적인 강점은 단연 안전 사양이다. 볼보는 일찌감치 안전 기술 개발에 힘을 기울여 3점식 안전벨트를 최초로 개발하는 등 업적을 세운 바 있다. 지금도 세계 최고 수준 안전 사양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모델에 기본 적용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XC90은 넓은 공간에 편의 기능을 다수 도입했다. /볼보
주변 경고 기능은 초보자라도 마음을 놓고 운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차량 주변, 특히 사각지대에 사람이나 다른 차가 다가오면 어김없이 경보를 울려준다. 민감도가 높아서 다소 거슬릴 수는 있지만, 익숙해지면 오히려 안락감을 높여줄 수 있다.
파일럿 어시스트 신뢰도도 더 높아졌다. 파일럿 어시스트는 2~3단계 자율주행 기능으로, 30㎞/h 이상에서 작동한다. 길이 막히는 도심이나 고속도로에서 사용하면 운전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타사 차량과 비교해 작동이 빠르고 부드러우며, 스티어링 휠을 잡지 않았을 때 반응도 분명했다.
굳이 단점을 꼽자면 내비게이션이다. 동작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나, 여전히 과속 카메라를 안내하지 못했다. 그나마 안드로이드 오토와 애플 카플레이는 문제 없이 구동됐지만, 휴대폰을 거치할 공간이 마땅치 않아 아쉬움이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