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이 여신전문업계의 현안과제를 신속히 마무리하고, 업권의 미래대비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31일 2020년도 신년사를 통해 "유례없는 기술변화속도 및 세계 경제와 정치가 주는 불확실성 등을 감안했을 때 올해도 여전업계에는 긴장의 끈을 잠시도 놓을 수 없는 경영환경이 예상된다"며 "협회는 보다 효율적인 여전업계의 경영지원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카드산업과 관련해 그는 "정부의 금융혁신 추진과정에서 카드사가 간편 결제 등 타 결제수단 대비 불합리한 차별을 받지 않고, 공정한 영업환경 하에서 영업할 수 있도록 당국과 협의해 나가겠다"라며 "가맹점수수료 산출근간인 적격비용 산정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내부 검토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캐피탈사와 관련해서는 "해외 진출 및 확장 등 신규시장 개척 및 수익다변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불합리한 규제를 완화해 업계 경쟁력 강화에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권의 미래대비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지원에 나선다.
김 회장은 "카드산업과 관련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사업자 신용평가업·마이데이터사업 등을 영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마이페이먼트' 사업도 겸영 업무로 추가하는 등 신사업의 제도적 안착과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캐피탈사와 관련해서는 중소기업을 위한 부동산리스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고, 정부의 설비투자 지원정책에서 캐피탈사가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신기술금융분야에서도 벤처캐피탈 업계 간 규제차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업의 융복합 추세를 반영해 투자업종 제한을 완화하는 등 투자 여건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회장은 "이같은 협회의 역할이 원활하게 이뤄지려면 업계와 협회가 혼연일체가 돼 여전업계 전체의 역량을 극대화해야 한다"며 "여러 차원에서 업계와 협회 간에 지속적인 만남과 대화의 자리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또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확대하고 관련 학회 및 외부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업계 의견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소통과 협력의 힘을 발휘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