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CES 2020]카메라도 사람으로 인식하는 삼성 인공인간 '네온'…어디까지 할 수 있나

네온의 모습. 다양한 인종과 직업을 가진 인간의 모습을 구현했다. /구서윤 기자



【라스베이거스(미국)=구서윤 기자】 "안녕하세요. 무엇을 도와드릴까요?"라는 문장을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상태로 듣는다고 생각해보자. 보통은 약간의 어색함이 들기 마련이다. 사람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해도 '진짜 사람이 아닐 것'이라는 판단도 쉽다. 기계나 아바타라는 티가 분명하게 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짜' 사람인지 '가짜' 사람인지 구분하기 힘든 상황이 도래했다.

삼성전자가 비밀리에 진행한 인공인간(Artificial Human) 프로젝트 '네온(NEON)'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0'에서 베일을 벗었다. 네온은 삼성리서치 아메리카(SRA) 산하 연구소 '스타랩'이 공들인 인공인간 프로젝트의 첫 결과물이다. 회사 측 설명에 따르면, 네온은 단순한 'AI 비서'가 아니고 '친구'다. 사람과 똑같은 친숙한 모습으로 일상의 많은 부분을 의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네온을 만나보니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화면을 통해 네온을 처음 접했을 때는 '사람 영상 나오는 게 무슨 혁신이라는 걸까'하는 생각을 했다. 눈을 깜빡이는 것부터 고개를 갸웃거리는 모습까지 모두 실제 인간의 모습처럼 자연스러웠기 때문이다. 설명을 듣고 난 후에서야 인공인간이라는 걸 알았다.

CES를 찾은 관람객들이 네온을 보기 위해 모여 있다. /구서윤 기자



이러한 탓에 인공인간은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30분 간격으로 진행된 시연에는 매시간마다 네온의 모습을 보려는 사람들로 가득 찼다. 시연을 본 이들의 입에선 탄성이 절로 나왔다. 심지어 "사람과 너무 똑같아서 무섭다"는 반응도 들렸다.

인공인간 네온은 말부터 행동까지 다양한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태블릿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문장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그대로 말한다. 책을 읽는 느낌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고개를 끄덕인다거나 표정을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눈썹이나 입모양 같은 세세한 부분까지도 조절 가능하다. 시연자가 '말을 하면서 눈썹을 위로 움직이도록' 설정하자 네온은 그대로 했다. 버벅거리는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같이 사진을 찍자고 하면 포즈를 취하기도 했다.

카메라도 인공인간인 네온을 사람으로 인식했다. 네온의 눈이 감긴 채 사진이 찍히자 스마트폰 화면에는 '눈을 깜빡였어요'라는 문구가 나타났다.

인공인간이지만 뇌도 존재한다. 웃도록 입력하고 나서 뇌의 상태를 보니 '행복'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확인한 인공지능 인간은 승무원, 일본인, 아나운서, 의사, 여행가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인공인간이 상용화되면 손님을 접대하거나 운동을 가르쳐주는 트레이너 등 활용 영역은 무궁무진할 전망이다. 네온 관계자는 "아직 상용화에 대한 생각은 없고 다양한 회사와 협업해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공인간 네온의 모습. /구서윤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