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가 석 달 만에 반등했다. 무, 호박, 양파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9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3.71(2015년=100)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오른 건 석 달 만이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7% 올라 6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린 건 농수산물 가격이었다. 무(30.7%), 호박(49.3%), 양파(30.2%) 등의 가격이 오르면서 농산물 물가가 7.4% 올랐다. 수산물(4.6%)도 오징어를 중심으로 물가가 올랐다. 전체 농림수산품 물가는 4.0% 상승했다.
국제유가의 상승도 생산자물가가 오르는 데 영향을 미쳤다. 나프타(6.2%), 경유(2.4%), 휘발유(3.5%) 등을 중심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 가격이 2.3% 상승하며 공산품 물가도 전월 대비 0.2% 올랐다. 모니터용LCD(0.8%) 등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도 0.1% 상승했다.
D램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8.8% 하락해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지난달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폐기물처리및자원재활용서비스를 중심으로 0.5% 상승했다.
서비스물가는 전월 대비 보합을 유지했다. 겨울 휴가철을 맞아 휴양콘도(10.8%), 호텔(1.9%), 한식(0.1%) 등 음식점·숙박업 물가가 0.2% 올랐다. 전세버스(-8.7%) 등 운송서비스 물가는 0.3% 내렸다.
생산자물가지수에 수입물가를 더한 국내공급자물가지수(104.53)는 전월 대비 0.3%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에 수출물가를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102.48)는 0.4% 상승했다.
한편 지난해 연간 생산자물가지수(103.50)는 1년 전(103.48)과 같았다. 2017년부터 2년 연속 상승하다 지난해 멈췄다. 연간 국내공급물가지수(104.71)는 0.2% 올라 3년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고 총산출물가지수(102.83)는 0.6% 내려 3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