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과 관련해 상황점검 회의를 주재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은행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가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일명 '우한 폐렴' 확산이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불확실성이 여전해 그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기 이르다고 밝혔다. 우한 폐렴 사태로 인한 금리인하 기대감도 이르다고 봤다.
윤 부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과 관련해 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얼마나 더 확산되고 그것이 우리 소비심리나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성장률이나 물가, 경상수지에 반영될 거로 보이지만 현재로서는 그 정도가 어느 정도다라고 하는 건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기 때문에 말하기 이른 시점"이라고 밝혔다.
윤 부총재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직후 한은이 금리인하 대응을 했다는 지적에 대해 "한은이 사스, 메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같은 감염병만 가지고 기준금리를 보는 것은 아니고 전체적인 영향, 기저에 흐르고 있는 경기나 물가 상황, 금융안정 상황을 보고 통화정책을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인지 판단하기는 어렵다"며 "그 당시에는 다른 이유 때문에도 그 당시 경기나 물가 상황이 안 좋았기 때문에 금리를 내린 측면도 분명 있었다"고 말했다.
금리인하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이어지는 것은 아직 이르지 않나 생각한다"며 "통화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 더 지켜보고 그 영향을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연준의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에 대해서는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앞서 미 연준은 29일(현지시간)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현행 1.50~1.75%로 유지하기로 했다.
윤 부총재는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간담회를 한 후 금리 낙폭이 확대되고 주가가 반락한 것을 보면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내용을 '도비쉬(dovish·비둘기적·통화완화 선호)'하게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