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에 따른 불안감과 함께 가짜뉴스가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최근에는 확진자의 이름 일부와 나이, 주소, 경위 등이 담긴 정보가 인터넷에서 떠돌기도 했다. '관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발생 보고'라는 제목으로 공문서 형식을 그대로 따라한 이 정보는 가짜인 것으로 판명 났다.
가짜뉴스는 잘못된 정보를 통해 불안을 가중시키고 선동의 도구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 요즘 같은 상황에선 정부의 대응도 지연시킬 수 있다. 특히나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가 주력 통신수단으로 자리 잡은 시대에 가짜뉴스 전파력은 더욱 빨라졌다. 피해 규모와 강도도 예측할 수 없다. 가짜뉴스가 미국의 대통령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줬을 정도다.
국내에서도 가짜뉴스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면서 가짜 뉴스 규제를 골자로 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 논의도 이뤄졌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방향이 아니라고 본다. 가짜 뉴스에 대한 객관적 정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표현의 자유까지 억압할 수 있어서다. 최근 만난 한 교수는 "정치인들은 본인들과 반대 입장인 사실이 퍼지면 그걸 가짜뉴스라고 부른다"고 말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가짜뉴스가 넘쳐나자 한 대학생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국내 확진자들의 분포 현황과 이동 경로를 담은 '코로나맵'을 공개하기도 했다. 지난달 30일 밤 10시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이 지도는 31일 하루에만 조회수가 240만회를 돌파하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만큼 국민들이 꼭 알고 싶었던 정보였다. 그는 앞서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가짜뉴스가 많아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싶었다"고 제작 이유를 밝혔다.
사실 정부가 먼저 나섰어야 할 일이다. 정확한 정보 없이 연일 포털 실시간 검색어에 뜨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내용은 불안감만 가중시킬 뿐이다. 물론 가짜뉴스를 미리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좋겠지만, 불가능한 만큼 국민 스스로 가짜와 진짜를 판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정확한 정보를 투명하게 유통해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