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이 29일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에 첫 출근하고 있다/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의 오랜 숙원인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윤종원 행장이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강조하면서 금융그룹으로 경쟁력을 키워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기 때문. 특히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윤 행장이 정부의 눈치를 보던 기존 행장과 달리 정부의 동의를 끌어낼 수 있어 지주회사 전환 속도가 한층 빨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 행장의 선임으로 기업은행의 지주회사 전환이 앞당겨질 전망이다.
윤 행장은 지난달 29일 취임식에서 "저성장·저물가·저금리 시대 속 뱅킹은 필요하지만 뱅크는 필요 없는 시대가 되고 있다"며 "다가올 60년을 위해 IBK를 초일류 금융그룹으로 만들고, 은행과 자회사의 시너지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기업은행은 IBK캐피탈, IBK투자증권, IBK연금보험, IBK자산운용, IBK저축은행, IBK시스템, IBK신용정보, IBK서비스 등 총 8개의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IBK그룹에 기여하는 실익은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IBK그룹의 순이익은 9859억원이다. 그 중 기업은행의 비중은 8662억원(88%)으로 자회사의 비중은 1197억원(12%)에 불과하다. KB금융, 신한 금융 지주회사가 비은행 부분 확대를 통해 은행 의존도를 60% 수준까지 낮춘 것과 비교하면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업계안팎에선 윤 행장의 발언이 지주회사 의 전환을 염두해 둔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자회사간 시너지를 발휘하기 위해선 지주회사 전환이 필수적이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야 지주사간 고객정보를 활용한 연계영업이 가능해진다. 또 자본규제 속에서 은행이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를 집행하긴 어렵기 때문에 비은행 계열사를 은행과 병렬구조로 만들어야 수익을 키울 수 있다.
여기에 윤 행장의 경우 정부의 동의를 끌어내기 쉽다는 점도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윤 행장에 대해 "자격 미달이라면 모르겠지만 경제·금융분야에 종사해 왔고 청와대 경제금융 비서관도 했고, 우리 정부 때 경제 수석, 국제통화기금(IMF) 상임이사까지 역임해 경력 면에서 미달하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신임을 얻고 있는 윤 행장이 지주회사 전환을 주장할 경우 추진을 도와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지주회사 전환을 추진했던 김도진 전 기업은행장은 지난 2016년 취임 직후 중장기적으로 지주사 전환을 검토하기 위해 'IBK 중장기 발전 방안' 컨설팅 용역을 발주하고 본격 검토했지만 명분 부족을 이유로 금융당국의 반대에 막힌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주사 전환이 실패한 이유의 대부분은 정부가 국책은행의 지주사 전환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아무래도 청와대 신임을 얻고 있는 윤 행장이 확고한 의지를 보인다면서 정부나 국회도 지주사 전환에 대해 동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