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2003년 '사스'보다 글로벌 경제 활동에 더 큰 위축을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중국 제조업의 글로벌 위상 변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보고서를 낸 홍준표 연구위원은 중국 내 확진자가 늘며 글로벌 경제가 더 둔화할 수 있다는 예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중국에 제조업 가동에 차질이 생기면 글로벌 제조업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이 전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3년보다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 세계 총생산(GDP)를 기준으로 2003년에는 4.3%에서 지난해에는 16.3%에 달했다. 세계 상품교역 대비 중국 상품교역 비중도 2003년 5%대에서 2018년 10% 이상으로 크게 확대됐다.
중국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도 마찬가지다. 중국이 창출한 부가가치가 전세계에서 기여하는 최종소비 비중은 2005년 3.8%에서 2015년 11.3%로 크게 늘었다. '컴퓨터, 전자 및 전기장비 산업' 분야에서도 중국이 기여하는 비중은 2005년 9.3%에서 2015년 21.5%로 대폭 성장했다.
한국 제조업도 중국산 부품에 크게 의존하는 상태다. 2015년 국내에서 소비된 제조업 제품 전체 부가가치 중 중국산 비중이 10.9%에 달했다.
중국이 원자재 시장에서도 '큰손'으로 떠오른 만큼, 원자재 가격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원유 소비량에서 중국 비중은 2003년 7.2%에서 2018년 13.5%로 2배 가까이 늘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로 중국 경기가 단기간에 급락할 수 있다며, 국내 내수 경기도 동반 침체할 수 있는 만큼, 추이에 따라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을 동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