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캐롯손보, 주행거리만큼 보험료 내는 '퍼마일 車보험' 출시

/캐롯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은 11일 '퍼마일(Per-Mile) 자동차보험'을 출시하고 자동차보험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밝혔다.

퍼마일은 주행거리만큼만 보험료를 계산한다는 의미다. 미국에서는 메트로마일과 같은 신생 디지털 보험사는 물론 올스테이트 등 기존의 자동차보험 빅플레이어들도 도입하고 있는 신개념 자동차보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캐롯손보가 처음 출시한다.

연간 보험료를 운행 거리와 무관하게 전액 선납하는 기존 자동차보험과는 달리 퍼마일 자동차보험은 소정의 가입보험료만 납부하면 이후 매월 주행거리에 따라 산출되는 보험료를 분할해 납부하게 된다.

휴가철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눈길에 평소보다 자동차 운행을 적게 했다면 그 달은 보험료가 저렴해진다. 다만 고객의 선택권 보장을 위해 계약 시에 보험료를 일시 납부하고, 1년 후 만기 시점에 실제 운행한 거리에 따라 ㎞ 단위로 정산이 가능한 퍼마일 연납형도 운영한다.

캐롯손보 관계자는 "퍼마일 자동차보험은 연평균 1만5000㎞ 이하 운전자들에게 기존에 가장 저렴한 가입 방법으로 알려진 다이렉트 자동차보험의 평균과 비교해도 8%에서 최대 30%까지 저렴한 보험료를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출퇴근은 대중교통으로 하고 주말에만 운전하는 직장인, 자녀 등교나 근처 쇼핑 등에만 차량을 활용하는 주부, 평소에는 잘 운행하지 않는 세컨드카 보유자라면 퍼마일 자동차보험이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고액의 자동차보험료를 일시에 납부하기 부담스러운 운전자에게도 퍼마일 자동차보험은 매력적이다.

퍼마일 자동차보험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 중 하나는 국내 자동차보험에서 최초로 도입한 운행 데이터 측정 장치인 '캐롯 플러그'와 '캐롯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이다.

캐롯 플러그는 퍼마일 자동차보험 월정산형을 선택하는 고객에게 보험가입 후 즉시 배송된다. 고객이 기기를 자동차의 시거잭에 꽂으면 실시간 주행거리를 측정하고 자동으로 보험료를 산출해 준다.

또 운전자는 캐롯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 주행거리와 보험료의 확인이 가능하다. 응급 상황 시 SOS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고객센터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E(Emergency)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급격한 가속도 변화를 인지해 자동으로 사고를 확인하는 등 신규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이 같은 퍼마일 자동차보험은 캐롯손보의 인슈어테크 기술력에 주요 주주로 참여한 SK텔레콤의 ICT 기술 접목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SK켈레콤은 OBD(On-board Diagnostics) 등 국내에서 상용화에 한계가 있는 운행정보 측정장치를 대체할 캐롯 플러그를 개발, 공급한다.

캐롯손보는 자체 기술력으로 SK텔레콤의 사물인터넷 전용망인 Cat.M1과 연계한 IoT 플랫폼 구축을 완료했고, 실시간으로 센서데이터의 처리와 주행 거리별 보험료 계산을 가능케 했다.

이를 통해 그간 기존 보험사들의 도입 시도에도 경제성 등의 이유로 여의치 않았던 운행 데이터 측정 장치의 대중화가 가능해졌다. 이밖에 캐롯은 캐롯 플러그에서 더 진화한 새로운 기술적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정영호 캐롯손보 대표이사는 "퍼마일 자동차보험은 지금까지의 획일화된 자동차보험 시장에 합리적 소비자를 위한 새로운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라며 "주행거리 이외에도 캐롯의 자체 기술력으로 고객의 운전 패턴 및 안전운전 습관까지 파악해 향후 갱신 시 안전운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