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당시(2015년) 관련 주요 테마주 주가추이·(A종목) 2015년 메르스 발병 시 백신 임상으로 관련 테마주로 알려진 A사는 주가가 2개월 동안 대규모 거래를 수반하면서 주가가 급등하였으나, 이후 급락했다/금융위원회
메르스 사태 당시(2015년) 관련 주요 테마주 주가추이·(B종목) 바이러스 감염 진단 등 장비를 생산하는 B사는 대규모 거래를 수반하면서 2개월 이내 주가가 급등하였으나, 이후 8월 말 주가가 급락했따/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감염증을 계기로 주식시장에서 기승을 부리는 테마주와 악성 루머에 대한 대응을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과 확산으로 일부 종목의 주가는 급등락했다. SNS·인터넷 카페 등에서는 근거없는 루머가 확산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테마주 종목의 평균 주가등락률은 57.22%다. 같은 기간 시장의 주가등락률(코스피 7.0%, 코스닥 7.12%)을 감안할때 변동폭이 컸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테마주로 언급되는 종목 고가 매수행위 반복해 시세를 유인하는 행위 ▲과도한 허수주문, 초단기 시세관여 등 시세조종을 반복하는 행위 ▲근거없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풍문을 유포해 매수를 부추기는 행위에 대해 대응을 강화한다.
현재 금융당국은 '테마주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한 진단·백신주(株) 마스크 주, 세정·방역 주 등 주요 테마주(현재 30여 종목)에 대해 모니터링 하고 있다. 테마주 모니터링 시스템은 테마주 형성부터 소멸까지 분류사유, 관리 이력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형성일 이후 현재까지의 주가변동을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를 진단하는 시스템이다.
김진홍 자본시장조사단장은 "매수추천 대량 SMS발송과 사이버상의 풍문 유포등의 사례를 집중 모니터링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예방활동도 강화한다. 금융당국은 테마주 급등에 대해 '투자주의·경고·위험' 등 시장경보종목 지정 및 불건전매매 우려주문에 대해 수탁거부예고 등 중대 예방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 은 20여 종목에 대해 총 33회 시장경보조치를 실시하고, 불건전 주문을 제출한 투자자에게 수탁거부예고 조치를 내렸다.
금융당국은 악성 루머를 이용한 위법 행위가 반복돼 투자자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계 기관과 공조해 루머 생성·유포자를 즉시 조사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투자자에게 ▲소문의 실체 확인 ▲주가 급변, 거래량 급증시 추종 매수 자제 ▲허위사실·풍문 전달·이용 금지 등 3가지를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단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해 이상주문이나 악성루머 등 불공정 거래 단서를 발견할 경우 금융당국에 제보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