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테크노밸리 중심 복합 지식산업센터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 분양
동탄테크노밸리에 들어서는 복합 지식산업센터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
부동산 시장에서 교통망은 뗄 수 없는 조건이다.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곳은 다른 지역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생활 인프라가 함께 확충되면서 전반적인 지역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기업들의 사옥, 보금자리로 급부상 중인 지식산업센터 역시 가장 큰 고려 요소 중의 하나가 교통망이다. 생산 물류를 보다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고 주변 업무, 산업단지와 편리하게 오가며 활발한 교류, 소통을 도울 수 있으며, 나아가 직원들의 출퇴근 부담도 덜어낼 수 있다.
특히 물류 이송의 경우 차량을 통해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고속도로 인근 입지가 높은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국토부의 2016년 국내화물 총괄 조사표에 따르면 공로(공공 도로)를 통해 운송된 화물량은 총 179만 9000여 톤으로 전체의 90%를 넘었다.
이 같은 교통 인프라를 갖춘 택지지구로 주목받는 곳 중 하나가 바로 복합 산업 클러스터인 '동탄테크노밸리'다. 동탄테크노밸리는 첨단도시형공장, 연구시설 및 벤처기업 등이 밀집된 산업 클러스터로 개발 중으로, 총면적 155만 6천여㎡로 판교테크노밸리의 약 2.3배, 광교테크노밸리의 약 5.7배 규모로 조성되는 수도권 최대 규모 산업 클러스터다.
주변에는 삼성전자나 LG전자, 두산중공업, 한국3M, 한미약품 등 대기업 산업단지들이 입주해 있다. 지구 조성 계획 또한 처음부터 대기업과 협력 관계에 있는 다양한 업체들의 활동을 고려한 '산업집적활성화'에 맞춰 개발이 진행된 지역이다. 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약 4500개의 기업과 20만 명의 인구가 상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먼저 경부고속도로 기흥IC, 기흥동탄IC를 끼고 있어 단번에 서울 도심권까지 진입할 수 있고 용인서울고속도로, 제2외곽순환도로 연계 이용이 편리하다. 또한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잇는 다양한 광역버스 노선과 더불어 동탄역을 통해 고속철도 SRT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 신설 및 인덕원 복선전철 사업 추진 등 추가적인 교통망 확충도 계획되어 있다.
최근 이 지역에 공급되는 지식산업센터의 대표주자로는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이 꼽힌다. 지하 4층~지상 20층 규모에 기숙사, 상업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복합 지식산업센터로 현대건설이 책임 준공하며, 차별화된 사무 공간, 다양한 편의시설을 계획한 것이 특징이다. 섹션 오피스의 경우 5.7M 높이의 층고와 4방향 자연 환기 시스템을 갖춘 제조형 오피스와 테라스와 공용 복도 등 쾌적한 업무공간으로 설계한 사무형 오피스로 나눠 조성된다.
또한 통합 로비, 공유 라운지, 세미나실 등을 마련해 입주 기업 간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며 라이브러리, 다목적체육관, 옥상정원 등 취미 및 휴식 공간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외에 뉴욕 센트럴파크를 연상시키는 녹지 조경을 곳곳에 배치해 쾌적한 업무 환경이 기대된다. 전 호실에는 삼성전자 사물인터넷(IoT) 시스템과 공기 청정기능이 강화된 삼성전자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다.
함께 들어서는 상업시설 '현대 실리콘앨리 스퀘어 동탄'은 뉴욕의 자유로운 거리 분위기를 연상시키는 레드브릭, 그래피티 등의 디자인을 적용한 뉴욕 스타일의 스트리트몰로 설계됐으며 입구에 대형 미디어 파사드 2개를 설치해 가시성을 높였다. 현재 멀티플렉스 영화관 씨네Q(큐)와 12개 정식규격 레인을 갖춘 대형 볼링 연습장 입점이 확정된 상태로 활발한 상권 활성화가 기대된다.
한편,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 견본주택은 경기도 화성시 동탄기흥로 570-6에 마련되어 있다. 상업시설에 설치될 미디어 파사드를 견본주택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을 조성했다. 갤러리 풍으로 쾌적하게 조성된 공간에서 5G와 인공지능(AI)을 적용한 로봇 커피 머신을 운영해 고객들과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실제 설계를 반영한 초대형 사업지 모형도와 상업시설 단면 모형도를 도입해 내방객들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