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총수들이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머리를 맞댔다.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 주요 그룹 총수들을 불러모았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대표와 이재현 CJ 회장 등 오너와 현대자동차 윤여철 부회장과 롯데지주 황각규 부회장 등 최고위급 경영자가 참석했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과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등 경제단체도 함께했다.
재계는 문 대통령에게 코로나19와 관련해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박용만 회장은 재계를 대표해 중국에서 서둘러 정상 조업을 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해달라고 말했다.
정부는 코로나19와 관련해 공무원들이 적극적으로 정책을 발굴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추후 책임이나 행정상 불이익을 면제하는 제도를 도입한다며 조치를 설명했다.
박 회장은 정부가 더 나아가 이번 사태에 한해 정책 감사를 폐지하는 수준으로 파격적으로 운영해야 정책 개발과 집행이 더 활발해지고 사태를 조기에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업체에 특별 연장근로를 허용한 데에 감사를 표하며, 더 적극적으로 정책 지원을 확대해달라고 주문했다. 코로나19뿐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유연근로 등 입법 보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 밖에 문 대통령은 정부가 금융지원과 특별연장근로 인가, 대체생산품에 빠른 인증 등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및 세금 납부기한 연장, 항공과 해운 등 예상 피해에 선제적인 대응도 약속했다.
이어서 기업도 설비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해달라며, 정부도 민간과 민자, 공공 3대 분야에서 100조원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세제 감면과 규제 특례 등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이재용 부회장은 '프로포폴 의혹'이 불거진 후 첫 공식 석상에서 섰다. 별다른 발언 없이 자리를 떠났다.
재계 13위에 불과한 CJ그룹이 초청된 배경에도 주목이 쏠렸다. 청와대는 CJ가 중국 내 사업규모나 업종 특성상 코로나19와 연관이 깊어서라고 설명했지만, 재계에서는 최근 아카데미상 4관왕을 차지한 영화 '기생충' 투자사라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