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매년 200억원 규모 발전기금 받는다… 3000억원대 산학협력지원금도 확보
인천대-인천시, 시립대서 법인국립대로 전환시 맺은 '재산협상 보완협약' 7년 만에 마무리
조동성 총장 "산학협력지원금 통해 연구중심대학으로 비상할 것"
조동성 인천대 총장(왼쪽에서 4번째)과 박남춘 인천시장(왼쪽에서 3번째) 등 인천대와 인천시 관계자들이 지난 17일 '대학발전 지원 및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총장 조동성)가 매년 인천시로부터 200억원 규모의 대학 발전기금을 받는다. 또 인천대가 인천시나 송도경제자유구역 발전과 관련한 국비지원 사업을 유치하면 산학협력 지원금도 받을 수 있다. 인천대는 이를 기반으로 연구중심대학으로 비상하겠다는 포부다.
19일 인천대에 따르면, 인천대는 인천시와 진통 끝에 교수들의 연구활동을 돕는 산학협력지원금 3067억원 확보를 골자로 하는 재산협상 보완협의를 마치고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인천대가 2013년 시립대에서 국립대 법인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천시와 맺었던 재산 지원협약을 수정해 보완한 결과로 7년 만에 다시 체결되는 것이다.
협약에 따라 인천시는 인천대가 인천이나 경제자유구역 발전과 연계된 사업 등 산·학·관 협력을 위한 각종 국비지원 사업을 유치할 경우, 사업별 타당성 검토결과에 따라 총 3067억원의 산학협력 지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또 2019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200억원 이상 총 2000억원 규모의 발전기금을 조성해 매년 1/4분기 중 인천대에 제공한다. 다만 올해부터 2020년까지 연간 150억원 이상 지원하고 2023년부터는 매년 200억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2013년 재산지원협약에서는 2028년까지 대학발전기금 2000억원을 지원한다고만 돼 있었지만 이번 협약에서는 연도별 지원 규모 등 구체적인 집행계획을 포함했다. 또 발전기금 지원 시 '시의 재정 상황을 고려한다'는 단서 조항도 삭제돼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해졌다.
또 인천대가 대학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은행에서 차입한 1500억원과 해당 차입금 이자 역시 대학발전기금과 별도로 인천시가 2022년가지 지원키로 했다.
다만 인천시가 인천대에 조성 원가로 제공하기로 약속했던 송도국제도시 11공구 부지 규모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33만㎡에서 9만9000㎡로 줄었다. 이 때문에 학내 일각에서는 송도국제도시 제공 부지 축소를 담은 이번 보완 협약에 반대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인천대에 더 많은 지원금을 주는 것에 대해 주변에서 반대하는 의견이 없지 않았지만 대학의 발전이 지역사회 발전을 이끈다는 고마운 생각에 고심 끝에 '통 큰 결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인천대가 낙후된 제물포 지역발전을 위해 그 중심에서 지금보다 더 많은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조동성 인천대 총장은 "교수들이 국비지원 사업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학교가 지원하는 매칭펀드가 부족해 연구를 못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에 3067억원에 달하는 산학협력 지원금을 확보해 앞으로 교수들이 마음 놓고 국비지원사업을 유치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계기로 인천대가 연구중심대학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