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무크선도대학' 신규 15개교 선정… 온라인 공개강좌 900개로 확대
인공지능(AI) 강좌 집중 개발, 900여개 강좌 제공키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케이무크'신규강좌 /케이무크 홈페이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인 '케이무크(K-MOOC)'에 인공지능(AI) 기초부터 배울 수 있는 강좌가 집중 개설된다. 또 학습자 수준에 맞춰 수강신청 단계에서 강의를 추천받는 기능이 생기고, 학점을 따는 학점은행제 과정도 확대된다.
교육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케이무크) 기본계획'을 통해 학습자들의 관심이 큰 강좌 위주로 누적 900개 강좌를 개발해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케이무크(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란 대학이나 기관의 우수 온라인 강좌를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국가 서비스다.
2015년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당시 27개이던 강좌 수는 2019년 현재 총 745개 강좌(누적)로 확대됐고, 회원 수(누적)도 첫 해 3만5000명에서 50만5000명으로, 수강신청 건 수(누적)도 5만6000건에서 지난해 116만8000건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강좌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질적 수준을 높이고, 이용자들이 더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맞춤형 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올해 15개교를 2단계 무크선도대학으로 신규 선정해 강좌 개발에 나선다. 1단계 무크선도대학은 2015년~2017년 매년 10개교를 선정해 3년간 지원했고, 지난해 지원이 종료됐다.
선정 대학들은 3년간 매년 2억원을 지원받아 대학의 강점과 특화 분야 등의 분야를 자율적으로 정해 온라인 강좌를 제공하게 된다. 또 수요자 요구에 즉각 대응하도록 10분 내외의 짧은 마이크로 강좌 등 매년 각 2개 이상의 강좌를 개발하게 된다.
특히 인공지능(AI)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실무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강좌 20개를 공모 또는 지정방식으로 집중 개발해 제공할 예정이다.
또 4차 산업혁명 분야, 전문인력 양성 분야에서 총 5개의 묶음강좌를 개발하고, 이공계 인력, 유학생 등에서 활용도가 높은 기초과학 분야나 한국학 분야, 취업 준비생, 재직자 등을 위한 직업교육 분야 등도 공모를 통해 개발한다.
아울러 학습자의 케이무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수강신청단계에서 학습자 정보(가입목적, 학습이력 등)를 활용한 최적 강좌 추천 기능, 강좌 동영상 미리보기 제공을 신설한다.
일반국민이 케이무크를 통해 학점이나 학위 취득까지 할 수 있도록 '케이무크 학점은행제 과정'을 확대 개설할 예정이다.
케이무크 강좌는 케이무크 누리집(www.kmooc.kr)에서 회원가입 후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으며, 2020년 신규 강좌는 3∼4월중 신규 개발할 강좌를 선정하여 올 하반기부터 학습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 신규강좌 선정 공고는 이달 말, 신규 강좌 공모·지정 선정과 협약은 3~4월 중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