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연봉 7000만원 도달' 대기업은 10년, 중견·중소기업은 25년 이상 소요
직장인 임금 '빈부격차'… 근속연수 같아도 대기업이 '1.5배' 높아 /인크루트·알바콜
직장인이 연봉 7000만원에 도달하는데 대기업은 평균 10년이 걸리고, 중견·중소기업은 25년 이상 근속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고용부 '임금 직무 정보 시스템'(www.wage.go.kr)'의 맞춤형 임금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사업체규모별, 산업별, 직업별, 근속연수별 등의 통계군을 선택해 근로자 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번 분석은 사업체규모별, 근속연수별 임금을 교차 분석한 결과다.
분석 결과 사업체 규모에 따라 입사 후 첫 임금에서부터 차이를 보였다. 우선 △300명 이상 사업장의 △1년 미만 근로자 평균 연봉은 3238만원에서 시작했다. 반면 △100~299명 사업장은 3069만원 △30~99명 사업장은 2885만원, △5~29명 사업장은 2715만원으로 기업규모가 작아질 수록 시작 임금도 낮았다.
임금 상승폭도 차이가 컸다. △1-3년 미만 근속시 △300명 이상 사업장 근로자의 임금은 4133만원으로 입사 이후 27.6%가 올랐다. 반면 △100~299명 사업장은 3401만원, △30~99명 사업장 3150만원, △5~29명 사업장 2955만원 이었다. 사업장별 인상률은 순서대로 10.8%, 9.2%, 8.8%로 300명 이상 사업장과 비교해 최대 1/3 낮았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근속연수가 같아도 임금격차는 상당했다. 특히 근속연수가 길어질수록 사업체규모별 격차도 커졌다.
또 연봉 7000만원선에 도달하려면 △300명 이상 사업장은 △10-15년 미만(7469만원)이 소요되는데 비해 △100~299명 사업장과 △30~99명 사업장은 모두 △25년 이상 근무해야만 가능했다. 대기업이 중견중소기업보다 최대 15년 이상 빠르게 연봉 7000만원에 도달한 것.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연봉상승의 정체기 역시 빨리 찾아왔다. △300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15-20년 미만 근로시 임금 8181만원을 기록하며 이후 △25년 이상 근속까지 8789만원으로 8000만원대를 유지, 10년간 임금상승률은 7.4%에 머물렀다. 하지만 같은 기간 임금상승률은 △100~299명 사업장 28.2% △30~99명 사업장 36.1% 그리고 △5~29명 사업장 43.8%로 반대국면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