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칸트

image

얘기가 나온 김에 칸트의 성실함에 대해 말해보겠다. 기상은 오전 4시 55분이었고 하인이 "일어나실 시간입니다"라는 말로 그를 잠에서 깨웠다. 그렇게 5시에 기상을 하며 아침 식사는 하지 않으나 잠에서 깨기 위해 흐리게 우린 홍차 두 잔을 마시고 담배를 피운다.

 

새벽과 아침 시간을 이용하여 글을 쓴다거나 작업을 시작했고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강의를 한다. 9시부터 12시 45분까지는 집필 작업을 했다. 12시 45분에는 점심 식사에 초대한 손님을 작업실에서 맞이한다. 오후 1시부터 4시까지는 초대한 친구들이나 손님들과 함께 오랜 점심을 함께하는데 하루 중 유일한 식사 시간이었다.

 

즉 아침과 저녁 식사는 하지 않은 것이다. 좋아하는 음식은 대구를 특히 자주 먹었으며 술은 언제나 붉은 포도주를 주로 마셨고 드물게 백포도주를 마시기도 했다. 그러고 나서 언제나 그랬듯 혼자 산책하러 나가는데 단 한 번을 제외하고는 늘상 똑같은 길로 산책을 했다.

 

항상 오후 4시에 산책을 하였으므로 동네 사람들이 칸트를 보고 시계를 맞추었다. 저녁에는 책들을 읽었는데 여행기와 같은 가벼운 읽을거리였다. 취침 시간은 밤 10시로 절대 안정 속에서 취침에 들었다고 하니 절도 있는 생활 모습은 마치 그림을 보는 듯하다.

 

이런 모습 속에서 그는 평상심을 유지한 도인의 삶을 살았음을 느낄 수 있다. 마음이 깨어 있고 안정된 사람이 아니라면 일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가 없다. 그는 평생 결혼하지 않고 독신의 삶을 살았다. 결혼했더라면 규칙적인 일상의 패턴을 결코 유지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독신의 삶을 선택했으리란 짐작해 본다. 그가 '순수이상 비판'이라는 심오한 철학적 사고를 펼칠 수 있었던 배경은 이렇듯 철저한 자기 절제의 바탕 위에서 싹을 틔웠을 거란 자연스러운 결론을 도출해보게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