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주인이 되는 삶

image

나이를 먹었는데도 조금이라도 자기 맘에 들지 않는 게 있으면 낯빛이 순간 달라진다. 조금 더하면 입이 댓 발만큼 나오는 사람들이 있다. 어릴 때야 어려서 그렇다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툭하면 징징대는 사람들도 많다. 자기 꾀에 자기가 속는다.

 

보통 사람들의 행태이기도 하다. 눈에 보이는 것만 보다 보니 자기 스스로 세워둔 조건의 덫에 걸려 자승자박의 꼴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주인이 되어 살아간다는 말은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우선적 힘일 것이다. 얼마 전 무심코 티브이 채널을 돌리다가 어떤 여자 연예인이 실패한 결혼생활을 얘기하는 것을 보았다.

 

다른 건 모르겠는데, 재혼을 결정하려는 동기가 딸에게 아버지를 만들어주고 싶었다는 얘기였다. 자기 운명의 덫을 만들어간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팔자가 좋고 나쁘고 하는 것도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온 업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의 집적이다.

 

행복도 불행도 자신이 만들어나가는 것이라는 것을 알 때 비로소 개운도 할 수 있다. 계속 누군가에 의지하려 들며 그 누군가로 인해 행운만을 기대하게 된다. 팔자의 기운이 펼쳐나가는 데로 몸과 마음을 맡기게 되어 말 그대로 사주는 못 속이네 하는 삶을 살아나가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문제나 어떤 결핍을 스스로 헤쳐나가려 하기보다는 남을 통해서 득이나 해결을 보려는 생각이다. 때로는 이익으로 다가올지는 모르지만 스스로 자기 꾀에 빠지는 어리석음을 유발한다. 내가 택한 조건이 쥐약인 줄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인 것이 인생사다.

 

이익을 좇는 마음은 눈앞만 보지 좀 더 너머의 위험은 보질 못하게 한다. 인간들이 살아가는 세계가 탐진치로 돌아가는 욕계(慾界)이기 때문이다. 결과가 원하는 것처럼 되지 않는다고 해서 남을 탓하지 않고 책임지는 삶, 자신이 주인이 되는 삶이란 그런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