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직장인 92.7%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태도 변했다"… 절반은 '건강 염려증'

직장인 92.7%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태도 변했다"… 절반은 '건강 염려증'

 

잡코리아·알바몬, 직장인 2420명 설문조사

 

직장인 57.3% "나도 건강염려증?" /잡코리아·알바몬

직장인 대다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건강에 대한 태도가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5명 중 3명은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염려가 많다'고 해 건강염려증을 시사했다.

 

잡코리아는 최근 알바몬과 함께 2040 직장인 242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건강관리'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을 훌쩍 넘는 57.3%는 '평소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염려가 많은 편'이라고 답했다. 이는 약 4년 전인 2015년 12월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당시 답변(47.0%)과 비교해 10% 포인트 이상 크게 많아진 수준이다. 반면 '건강하다고 믿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44.9%에서 36.0%로 8.9%포인트 낮아졌다. '건강 자체에 관심이 없는 편'이란 응답은 6.7%에 그쳤다.

 

연령별로 건강에 가장 관심이 많은 응답군은 30대 직장인(62.5%)이다. 또 건강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크게 증가한 그룹은 20대로, '건강에 관심이 많다'는 응답자 비중이 2015년 40.0%에서 올해 54.2%로 14%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특히 직장인 대다수(92.7%)는 '코로나19 이후 건강을 대하는 태도가 변했다'고 답했다. '건강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건강 자체에 관심이 없다' 등 건강에 무관심하다고 답한 직장인 중에서도 무려 86.0%가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다고 답해 눈길을 끈다.

 

직장인들의 코로나19 이후 태도 변화(복수응답)로는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등 생활환경 위생에 신경을 쓴다'(88.5%)는 응답이 1위였다. 이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거나 잔기침을 하는 등의 타인의 위생에도 예민하게 된다'는 응답도 65.4%의 높은 응답률을 얻어 2위에 올랐다. 이어 '외부 활동을 삼가고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게 됐다(47.5%)', '내 건강뿐 아니라 가족, 동료 등 지인들의 건강에도 몹시 신경 쓰게 된다(46.2%)', '체력, 면역력에 관심이 늘어 좋다는 것을 다 챙기게 된다(28.6%)', '체온, 인후통 등 내 몸이 보내는 신호에 예민해진다(27.8%)', '열만 나도, 배만 아파도 코로나인가 겁이 나고 두려워진다(26.1%)'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한편으로는 '관련 뉴스가 너무 많으니까 오히려 피로도가 쌓이고 조금씩 무신경해진다(18.3%)', '운동을 중단하게 돼서 건강이 나빠질 것 같다(17.1%)' 등의 응답도 있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