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술에는 와인! 편의점, 와인 판매 경쟁 본격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한창인 가운데, 회식 대신 홈술을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이에 와인을 중심으로 편의점 주류 매출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편의점들이 와인 판매 확대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CU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홈술족이 늘며 편의점 주류 매출이 무려 20%나 늘었다. 최근 2년 신장률 대비 큰 폭의 오름세다.
CU가 이달(3월 1~26일) 주요 상품들의 매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주류 매출이 전년 대비 약 20%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2019년 최근 2년간 매출신장률이 각각 9.9%, 12.3%였던 것에 비하면 매우 큰 폭의 오름세다.
주류 카테고리별로 살펴 보면, 와인 매출이 39.2%로 가장 높았고 이례적으로 양주도 26.5%의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이 외 막걸리 21.1%, 소주 17.3%, 맥주 10.4% 순으로 모두 두 자릿수 신장률을 기록했다.
홈술족이 늘면서 와인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자 편의점들은 와인 예약 서비스와 와인 할인 판매, 와인 구매 전용 멤버십을 선보이며 와인 판매 경쟁에 돌입했다.
이마트24는 지난해 1월 240여곳 매장을 대상으로 와인 O2O(온ㆍ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시범 도입한 데 이어 올해 서비스 매장을 740여 곳으로 확대했다. 아울러 80여종의 와인을 취급하는 주류특화매장을 1700여곳으로 확대하는 등 와인 판매를 확대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와인 매출이 전년대비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와인 전문 편의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와인 큐레이션 마케팅 '이달의 와인'을 내놨으며, 고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달의 와인'은 바이어가 해당 월에 어울리는 와인을 선정해서 40% 이상 할인판매하는 마케팅이다. 1월~3월 '이달의 와인'을 진행한 결과 선정된 와인이 총 2만병 이상 판매되면서 고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편의점에서 접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와인을 선정해 할인된 가격으로 제안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한 와인큐레이션 마케팅이 판매로 이어진 것.
이처럼 올해 처음 진행한 이달의 와인이 고객들의 큰 호응을 얻음에 따라, 올해 말까지 매월 매력적이 와인을 선정, 할인판매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4월에는 외부 활동이 줄어 들면서 가볍게 홈술을 즐기는 고객들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푸드와 매칭하기 좋은 레드와인 '나인 라이브스 리저브 까베네 쇼비뇽'을 선정했다.이마트24는 정상가 18000원인 나인 라이브스를 4월 한 달간 9900원에 판매한다.
GS25는 지난해 12월 와인 당일예약 서비스인 '와인25'를 내놨다. 해당 서비스를 도입한 점포의 경우 와인 매출이 한달만에 355% 신장하기도 했다.
GS25는 내달 3일부터 '와인25'의 상품 구색 폭을 넓히고, 편의점 출범 30주년을 기념한 프리미엄 주류 예약 판매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GS25 와인 판매 매출을 살펴보면 전년대비 18년 38.5%, 19년 55.8%, 20년 3월까지 20.1%의 높은 신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당일 와인 예약서비스 '와인25'를 도입한 강남권 GS25의 와인 매출은 기존 대비 72.3% 신장을 보이고 있으며, 캔달잭슨, 카멜로드피노누아 등 널리 알려진 고급 와인이 인기를 보이고 있다. 4월 3일부터는 꼬냑, 보드카, 데킬라, 진, 럼 등 다양한 종류의 인기있는 상품 예약 서비스도 가능해지며, 상반기까지 수도권 전 점포로 확대할 계획이다. 와인25는 GS프레시앱이나, GS25 '나만의 냉장고'앱을 통해 주문 후 GS25 점포에서 결제 후 찾아 갈 수 있다.
아울러, GS25 출범 30주년을 기념해 1990년 빈티지 '샤또무똥로칠드'와 2018년 빈티지 구스아일랜드 '버번카운티 스타우트' 맥주를 한정 수량 예약 판매한다.
최근에는 국세청이 소매업자의 '스마트 오더' 방식의 주류 통신판매를 허용함에 따라 편의점 업계를 중심으로 와인 판매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각각 자체 모바일 앱을 운영하고 있어 이번 개정안 '스마트 오더' 방식의 주류 판매 시스템 도입도 빠른 시일 내에 적용될 전망이다.
일부 편의점들은 주류를 제외한 도시락 등 식품에 한해 스마트 오더 시스템을 시행중이기도 하다. 스마트 오더 시스템을 도입하면 재고 상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예약만 한 뒤 구매하지 않는 '노쇼' 고객을 방지할 수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