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풍선효과' 서울 아파트, 노·도·강이 뜬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2일 발표한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월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 2월 0.12%에서 0.10%로 줄었다.

 

그러나 비강남권인 노원(0.38%)과 도봉(0.28%), 강북(0.28%) 등 강북 주요 지역은 뉴타운 대단지와 복합개발 계획이 있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뚜렷했다. 소형·저가 단지 및 정주여건이 양호한 뉴타운 대단지, 개발호재(역세권 복합개발 및 교통망 확충 등)가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했다는 평이다.

 

노원구 미성아파트(전용면적 50.14㎡)는 3월 6억8000만원에 팔렸다. 이 아파트는 지난 2월 6억1500만원에 거래됐으며 삼호3차(전용면적 59.22㎡)는 7억4800만원에 거래됐다. 이 아파트는 지난 2월 6억4000만원에 팔렸다.

 

교통호재도 집값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이다. 서울 왕십리에서 미아사거리역, 상계역을 잇는 동북선 경전철은 전체 연장 13.4㎞ 노선이다. 개통되면 환승역 7개를 포함한 정거장 16개와 차량기지 1개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동북선 경전철 기공식을 열고 오는 2024년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다. 동북선 경전철에는 9895억원이 투입된다.

 

현지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상계주공4단지(전용면적 58.01㎡)는 호가 5억원에 매물이 나왔는데 이 아파트는 지난 달 4억7000만원에 거래됐다"며 "재건축이나 교통호재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매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고 전했다.

 

도봉구 방학동삼성래미안2차(전용면적 84.94㎡)는 지난 2월 6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3월 7억1700만원에 팔렸으며 강북구 벽산라이브파크(전용면적 84.89㎡)는 3월 5억4900만원에 팔렸다. 이 아파트는 2월 4억7500만원에 거래됐다. 2월 5억8000만원에 거래된 에스케이북한산시티(전용면적 84.76㎡)는 3월 5억9700만원에 팔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 아파트 가격 하락세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금융시장과 실물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데다 단기급등에 대한 부담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라며 "노·도·강 지역이 약진하고 있지만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