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문 대통령 "임시정부는 오늘의 우리를 만든 뿌리"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제101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기념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고난과 역경에 맞설 때마다 우리에게 한결같은 용기의 원천이 돼 줬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오늘의 우리를 만든 뿌리다. 대한민국의 법통이며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제에 빼앗긴 우리 민족 반만년의 역사를 이어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수립했고, 우리가 독립국 민주정치의 자유민임을 선언했다. 민족의 지배를 거부하는 것은 물론 군주주권의 역사를 국민주권의 역사로 바꾸었고 전제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제의 새 역사를 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제101주년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은 독립운동 역사가 기록된 서울 서대문독립공원 어울쉼터에서 열렸다. '새로운 백년, 희망을 짓다'라는 주제로 진행한 기념식에는 문 대통령을 포함한 5부 요인과 함께 임시정부 요인 및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 등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먼저 광복군이 국기 게양 시 불렀던 독립군가인 '국기가'를 국방부 군악대 중창단이 부르면서 임시정부의 자주독립정신을 기리는 것으로 시작됐다. 이어 김원웅 광복회장과 윤기섭 임시의정원 의장 후손인 정고은(17) 학생이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대한민국헌법 제1조를 낭독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에 대해 "단지 '반일'에 머물지 않았다"며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은) '자주독립'과 함께 인간의 존엄을 본질로 하는 '자유평등', 성별, 빈부, 지역, 계층, 이념을 아우르는 '화합과 통합' 인류의 문화와 평화에 공헌하는 '인류애'라는 위대한 정신을 유산으로 남겨줬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또 임시정부 수립 기념사를 통해 "'독립·호국·민주'에 헌신한 국가유공자와 가족들에 대한 보훈과 예우는 국가의 존재가치와 품격을 가늠하는 척도"라며 "정부는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이 일상에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국가의 도리를 다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이외에도 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된 데 따른 격려의 메시지도 이어갔다. 문 대통령은 "100년 전 선열들이 반드시 광복이 올 것이라는 희망 속에서 서로를 격려하며 고난을 이겨냈듯, 오늘 우리는 연대와 협력으로 '코로나19'의 비상하고 엄중한 상황을 헤쳐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시민들은 성숙한 자제력과 인내심으로 일상을 양보해 주셨고, 서로 나누고 격려하며 함께 어려움을 이겨내고 있다. 어떤 고난 앞에서도 꺾이지 않았던 독립 선열들의 강인한 정신이 우리 국민들의 가슴에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느낀다"며 "독립 선열들의 정신과 우리에게 주어진 책임의 무게를 깊이 새기며,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끼리 연대하고 협력할 것이며 나아가 세계와도 연대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기념식을 마친 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기공식'에 참석했다. 기념관 건립은 문 대통령이 2017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독립운동의 공적을 후손들이 기억하기 위해 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날 착공한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2021년 말 완공한 뒤 개관할 예정이다.

 

기공식에서 문 대통령은 기념관 건립 후 머릿돌용으로 전시될 기념판에 서명을 했다. 이어 전국 독립·민주운동의 상징적인 곳의 흙을 담아 시삽대에 합토했다. 합토에 사용한 흙은 한국의 사방인 울릉도(동쪽)·연평도(서쪽)·한라산(남쪽)·임진각(북쪽), 독립·민주 운동을 기념하는 장소(종로 탑골공원, 제천 의병광장,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창원 3·15의거, 서울 광화문, 광주 5·18 민주광장) 등에서 준비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