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코로나19 줄기세포로 치료 효과적, 9월 첨생법으로 허용해야"

이희영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장이 20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줄기세포 치료술을 설명하고 있다.

 

 

줄기세포를 이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9월 시행되는 첨단재생바이오법을 통해 코로나19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를 허용해야 한다 주장도 이어졌다.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이희영 회장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 19,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 유래 조직에서 분리한 세포를 즉시 투여하고 동시에 체외에서 최소한의 조작만으로 숫자를 증식하여 다시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치료법이다. 최근에는 자가 줄기세포가 주 사망 원인인 급성 호흡부전증(ARDS)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논문도 다수 발표된 바 있다.

 

학회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폐 손상에 자가 줄기세포를 적용하면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자체 면역이 생길 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다. 특히, 줄기세포 치료술은 음압, 개별 관리가 필요한 감염질환에서 자가 세포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회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에게 사용되는 세포는 최우선적으로 환자 자신의 세포 즉 '자가 세포'와 '일란성 쌍둥이 세포'를 사용하고, 이것이 어려울 경우 골수이식 과정에서 이뤄지는 조직 적합성 검사를 통해 일치하는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희영 회장은 "자가 세포와 조직 적합성 검사를 통해 일치하는 세포마저도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타인 세포인 '동종 세포'를 투여하는 방법을 선택한다"며 "폐가 기능을 못할 때 줄기세포를 투여하면 상처가 난 자리를 치유하고 원상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코로나19 치료에 줄기세포를 활용하려면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다. 줄기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선 외부로 환자의 세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염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인허가의 문제와 높은 가격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이 회장은 "줄기세포가 코로나19 치료 가능성이 높은데도 활용되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음압 관리 시설 부족"이라며 "치료 효과는 알고 있으나 세포치료제로서는 너무 비싼데다 인허가 기간이 오래 걸려 사용하지 못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학회는 변이가 많은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에 줄기세포가 답이 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회장은 "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가 많기 때문에 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오랜 시간을 쏟는 것보다 줄기세포 치료를 급성호흡부전증 환자에게 적용해야 한다"며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첨단재생바이오법의 대통령령에 의료기관 최소 조작 자율 배양을 허용하는 안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