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39년 만의 졸업장'… 부산대, 5.18민주유공자 고 최종철 열사에 명예학사학위 수여

'39년 만의 졸업장'… 부산대, 5.18민주유공자 고 최종철 열사에 명예학사학위 수여

 

고 최종철 열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 적극 나섰다가 옥고를 치른 뒤 숨을 거둔 고 최종철 열사가 39년 만에 대학 졸업장을 받는다.

 

부산대학교(총장 전호환)는 24일 오후 5시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5.18 민주유공자인 고 최종철 열사에게 명예졸업증서를 수여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명예졸업증서 수여식은 최근 코로나19 상황을 감안, 고인의 유가족과 부산대 전호환 총장 등 교내 일부 보직자와 부산대 민주동문회장 등 최소 인원이 참가한 가운에 진행될 예정이다.

 

충북 청주 출신인 최종철 열사는 1977년 부산대 조선공학과(현 조선해양공학과)에 입학한 뒤, 1979년 부산대에서 먼저 시작된 10.16부마민주항쟁과 이듬해 전국적으로 전개된 1980년 5월 민주화 시위에 적극 참여해 군부정권 독재에 극력히 저항했다.

 

1980년 1학기에 부산대를 휴학한 후 고향인 청주에서 충북지역 5월 민주화 시위에 앞장서 5.18 계엄 포고령 위반으로 검거됐고, 당시 청주 보안대에 구속된 그는 인근의 충북대생도 아닌 부산대생이 충북지역 시위에 앞장섰다는 이유로 더욱 심한 구타와 고문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압수사는 혹독하게 이어졌고 최종적으로 징역 3년형을 받아 수감됐다.

 

이후 1981년 5월11일 특사로 석방됐으나, 모진 옥고로 쇠잔해진 몸과 가혹한 시련으로 석방 후 채 넉 달을 넘기지 못하고 그해 9월1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는 1999년 5월 5.18민주유공자로 추서돼 2002년 7월27일 국가보훈처로부터 공식 인정받았다.

 

10.16부마민주항쟁의 발원지인 부산대는 고인의 헌신과 민주화를 위한 희생을 기려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명예학사학위를 수여하기로 했다.

 

이날 명예졸업장은 고인의 누나인 최종은 씨가 대신 받을 예정이다. 꽃같이 스러진 고인의 이름 위에 39년 만에 놓이는 졸업장이다.

 

전호환 부산대 총장은 "고 최종철 열사는 부산대 77학번 조선공학과로 나와 함께 수업을 듣던 친구이기도 해 감회가 남다르고, 친구에게 너무나 미안한 마음"이라며 "우리나라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끈 부산대 정신은 최종철 친구처럼 과거 독재에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희생정신이 있었기에 오늘날 빛나는 부산대의 역사가 되고 있다"며 유족들을 위로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