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집콕'으로 뱃살 '확찐자' 중년여성 협심증, 심근경색 위험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조준환 교수(왼쪽)가 중년 여성을 진료하고 있다.

 

 

한달이 넘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확찐자' 여성들의 협심증, 심근경색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체중 증가 폭이 가장 큰 40대 중년 여성들의 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27일 중앙대학교병원 심장혈관, 부정맥센터 조준환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허리둘레가 85cm(33.5인치) 이상의 복부 비만이 있는 여성의 경우 관상동맥질환 유병률이 55.5%로, 그렇지 않은 여성(41%)에 비해 높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흉통으로 병원에 내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은 55세 이상의 폐경 여성 659명을 대상으로 비만의 유형과 관상동맥질환의 발생 위험을 조사한 결과다.

 

비만은 내피세포 기능장애,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인해 관상동맥경화증 등을 유발하고 고혈압과 고지혈증, 당뇨와 같은 질환의 주요한 위험인자인 동시에 각종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년여성의 경우 복부비만으로 인한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돼,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난 중년여성의 경우 체중 관리를 위한 주의가 더욱 필요하다.

 

최근 SM C&C 플랫폼 '틸리언 프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20~50대 남녀 4010명에게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 43%(1718명)가 '체중이 늘었다'고 답했다. 체중이 늘었다는 응답은 여성(47%)이 남성(36%)보다 높았고, 특히 40대 여성 과반인 51%가 '체중이 늘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여성들의 허리둘레는 평균 84.7cm인 반면에 관상동맥질환이 없는 여성들의 평균 허리둘레는 82.4cm로 관상동맥질환의 있는 여성의 허리둘레가 더 컸다. 허리둘레가 큰 복부비만이나 배만 많이 나온 폐경기 중년 여성의 경우, 복부비만과 관상동맥질환의 연관성이 있으며 복부비만 일수록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대병원 순환기내과 조준환 교수는 "폐경 후 여성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유병률과 허리둘레로 확인할 수 있는 복부 비만이 연관성이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 활동량 감소로 인해 복부비만이 증가할 수 있는 중장년 여성의 경우, 복부 비만의 개선을 위해 식습관 조절과 평소 집에서 무리하지 않고 할 수 있는 복부운동을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