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라] ① 센서, 언택트 시대 핵심 기관으로

현대자동차가 지난 CES2020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엠비전S. 카메라와 레이더, 라이더 등 다양한 센서를 장착했다. /현대자동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를 흔들고 있다. 앞으로 세상은 '코로나19 이전'과 '코로나19 이후'로 바낀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4차산업혁명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언택트 등 새로운 생활 양식이 자리잡는가 하면, 주력 산업도 새로운 분야로 옮겨가는 분위기다. 메트로신문은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라'란 기획 연재를 통해 새로 주목받는 산업 분야를 확인하고 국내외 현주소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언택트(비대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표하는 단어다. 코로나19 사태가 비대면 편의성을 확인시켰고, 앞으로도 비대면 활동을 더욱 늘려나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 치료제가 나오지 않는 경우 언택트는 더 빠르게 확대된다고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센서 산업은 언택트를 가능케하는 핵심 분야다. 원거리에서도 소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이고, 인공지능(AI)을 운용하는 데에도 필수 요소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 센서사업팀을 신설한 데에도 이 같은 계산이 있었다. 센서사업팀은 '인간을 이롭게 하는 센서, 사람을 살리는 반도체'를 목표로 대대적인 연구 개발을 이어가는 중이다.

 

핵심 사업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CIS)다. 이름처럼 디지털 카메라에 쓰이는 핵심 부품으로, 화상을 디지털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쓰임은 다양하다. 스마트폰과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해 노트북 등 IT 기기에는 이미 보편화됐다. 인공지능(AI)이 발달하면서 보안기기와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에도 탑재돼 사람 눈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CIS 시장은 일본 소니가 점유율 절반 이상으로 1위에 올라있지만,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1억800만화소 제품을 출시하는 등 기술력을 통해 1위 자리 탈환을 넘보고 있다. SK하이닉스도 일부 D램 생산 라인을 CIS로 전환하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상태다.

 

레이더는 CIS와 비교해 저렴한 가격과 간단한 원리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이미 널리 쓰이는 보안 시스템이나 가전에서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해주는 기능은 물론, 자동차와 로봇 등 미래 기기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로봇은 여러 센서를 탑재해 인간보다 더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 사진은 고양 현대모터스튜디오에서 운영 중인 LG전자 클로이 안내로봇. /LG전자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레이더에 대한 관심이 높다.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현할 때 저렴하고 간단하게 사방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주차 보조 시스템이나 주행보조시스템(ADAS)에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레이더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대모비스는 2018년 후측방레이더를 국내 최초로 독자개발에 성공했으며, 지난해 길고 짧은 레이더 기술도 모두 확보하며 기반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독자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단, 레이더는 음파를 사용하는 탓에 주변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게 단점이다. 국내 스타트업인 비트센싱은 정밀도를 높인 '트래픽 레이더'를 개발해 올 초 CES 2020에서 혁신상을 받으면서 발전 가능성을 높였다.

 

비트센싱은 정확도를 높인 레이더를 개발해 CES2020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비트센싱

라이다는 가격이 비싼 대신 정확도가 높다는 점에서 전세계가 주목하는 기술이다. 아직까지는 이스라엘과 미국 기업들이 독점하는 상태이지만, 국내에서도 개발을 가속화하면서 국산화 기대를 높이고 있다.

 

선두주자는 현대차그룹이다. 현대차그룹은 일찌감치 라이다 관련 스타트업과 협력을 이어왔으며, 지난해 10월에는 미국 벨로다인에 5000만달러를 투자하면서 주도권을 강화했다. 차세대 모델에는 라이다를 장착해 3단계 수준 자율주행을 구현할 것으로도 알려졌다.

 

최근에는 에어컨 등 가전도 센서를 장착하는 추세다. 사진은 LG전자 휘센 씽큐 2020년형과 포즈를 취하는 이감규 LG전자 에어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왼쪽)과 임정수 한국 B2B 마케팅담당 / 손진영기자 son@

중견기업 사이에서도 라이다 상용화를 빠르게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전자부품연구원(KETI)과 광주시 등이 라이다 업체 지원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업체들이 잇따라 라이다를 새로 출시하며 국산화에 한발 더 다가갔다.

 

업계 관계자는 "언택트 시대는 사람 오감을 대신하는 센서 사용을 대폭 늘릴 수밖에 없다"며 "미래 먹거리로의 센서 사업 중요성은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