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물처럼 산다는 것

image

노자의 도덕경에는 상선약수라는 말이 나온다.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이다. 그 이유는 세상의 모든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 다투지는 않으며 모든 사람이 사는 곳에 머무르기 때문이라고 덧붙이고 있다. 물처럼 사는 것이 가장 좋다는 말을 들으면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물처럼 산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물은 잠시도 쉬지 않고 흘러가면서 먼저 가기 위해서 다른 무언가를 해치지 않는다. 또 특정하게 갖춘 모양이 없어서 어디에나 잘 어울린다. 병에 담기면 병의 모양이 되고 밥그릇에 담기면 다시 그 모양이 된다. 자기의 이익을 더 취하려 기를 쓰는 사람의 심성으로는 닮기 어렵다.

 

노자는 물이 지닌 수유칠덕이 사람에게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 일곱 가지는 겸손 지혜 포용력 융통성 인내 용기 대의이다. 일곱 가지를 모두 따르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이 중에 두 가지만 실천해도 인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나는 막히면 돌아갈 줄 아는 지혜이다. 어느 한쪽만 바라보고 그쪽에서 빛이 보이지 않으면 좌절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람의 운세는 때와 상황에 따라 달라지곤 한다. 자기가 꾀한 일이 생각대로 잘 풀리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럴 땐 한쪽에 매달리지 말고 다른 쪽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

 

막히면 돌아갈 줄 아는 지혜란 그런 것이다. 다른 하나는 깨끗하지 않은 물도 안아주는 포용력이다. 포용력을 말할 때는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관대함을 일컫는다. 보통은 좋은 운세만 누리고 싶어 하고 나쁜 운세는 회피한다. 자기 것이 아니었으면 하는 마음 때문이다.

 

나쁜 운세 역시 자기의 것임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포용하면 그것을 토대로 다시 일어서는 길을 찾을 수 있다. 매일 물과 만나지만 물에서 본받아야 할 게 있다는 생각은 못 하는 것은 아닌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