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전년 대비 17% 줄었다… 산림청 "소규모 분산 발생 방제에 초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전년 대비 17% 줄었다… 산림청 "소규모 분산 발생 방제에 초점"

 

5만그루 이상 피해 '극심지' 울주군 한 곳 남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 /산림청

한 때 피해 고사목이 218만그루까지 증가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전년대비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작년 5월부터 매개충의 우화 시기 전인 올해 4월까지 전국 124개 시군구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 41만 본(그루)을 전량 제거했다고 6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은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이로써 피해목 5만 그루 이상의 '극심지'는 울주군 1개 지역만 남았다. 피해목 3만그루~5만그루 미만의 '심' 지역은 전년 4곳에서 올해 제주도와 경주 2곳으로 줄었다. 다만 소규모 분산 발생이 늘고 있어 산림청은 예찰·예방 집중, 이동 단속 강화, 정보통신기술(ICT) 접목 등 향후 방제 전략을 마련해 추진한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는 2013년 제주도와 경상도를 중심으로 피해고사목이 218만 그루까지 크게 확산했으나, 범정부적 노력으로 지속 감소세다.

 

산림청과 전국 지자체는 지난해 전국 합동 정밀예찰과 집중 방제기간 동안 피해 고사목 41만 그루를 포함해 감염 우려목 등 145만 그루를 제거했고, 지자체와 국유림관리소 간 공동방제, 방제 사업장 점검과 이동 단속 초소 운영, 소나무류 취급 업체에 대해 집중 단속 등을 해왔다.

 

신규 발생 지역은 충남 서산, 전남 해남 등 7곳, 청정 지역 환원은 경북 영양·문경, 충남 홍성 등 3개 지역이다.

 

지역별로는 소나무재선충병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북, 울산, 제주도에서 피해목 그루 수가 크게 감소한 반면, 강원도 춘천, 전남 순천, 여수 등의 피해는 늘었다.

 

경기와 강원의 잣나무림은 소나무와 비교해 고사 발현이 늦어 피해목 발견이 지연됨에 따라 피해가 증가했다.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이 과거 일부 지역 집중 발생에서 최근 여러 지역에 소규모 분산 발생함에 따라 고사목 전수 검경과 이력 관리 등 예찰을 철저히 하고, 우려목 사전 제거와 예방나무 주사를 확대하는 등 피해 경미 지역 예찰과 예방에 주력할 계획이다. 피해 발생 시군구에는 밀착 컨설팅과 함께 관리 소홀이나 부실 방제로 인한 피해 확산의 경우 단호한 행정 조치도 실시할 방침이다.

 

아울러 방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이동 단속 초소 재배치와 근무제 개선 등 이동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비접촉 근거리 통신(NFC) 전자 예찰함 이외에도 비가시권 지역의 드론 예찰, 초근접 드론 방제,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마킹 테이프 활용 등도 실시한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양상의 변화에 따라 방제 전략도 달리해야 하며, 선단지 축소와 백두대간, DMZ 등 주요 소나무림 보호를 우선 목표로, 확산 저지에 역량을 집중해야만 한다"라며 "앞으로도 소중한 우리 소나무를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