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한은 "美기업 부실화 가능성↑…좀비기업 양산 우려"

현금소진 위험·고부채·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의 비중 변화. /한국은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미국 기업의 부실화 위험이 커지면서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기업실적 부진이 지속될 경우 이자를 낼 돈도 못 버는 '좀비기업'을 양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코로나19 이후 미국기업 부실화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미국 기업들의 유동성 부족 문제는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상당 부분 해소됐지만 기업부채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늘어난 상황에서 기업의 부채상환 능력이 저하될 경우 실물경제 회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이 기업재무 데이터를 이용해 추정한 유동성(liquidity), 채무상환능력(solvency) 위험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원유, 석유제품 등 에너지와 기계장비 등 산업재, 숙박 음식·자동차 등 경기소비재 등의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업종은 현금소진 위험기업 비중이 높아 단기 유동성 충격에 취약하고 부채상환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외부의 자금조달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분석대상 기업의 22.2%가 보유현금을 1년 내 소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현금소진 위험기업이란 보유 중인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매매증권과 영업활동으로 영업비용, 단기부채,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말한다.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더뎌지면 이들 업종의 고부채기업 비중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기업들이 자금을 전액 부채로 조달한다고 가정한 경우 고부채기업 비중은 올해 18.9%로 전년(6.3%)보다 3배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interest coverage ratio, EBIT/이자비용) 1미만 기업의 비중이 에너지·산업재·경기소비재 등을 중심으로 증가해 부실화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업종의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도 전년 대비 7.0%포인트 늘어난 11.9%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37.1%), 산업재(18.3%), 경기소비재(8.3%) 순으로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부도와 신용등급 강등 위험도 높아졌다. 부도율의 선행지표로 알려진 고금리 투기등급 회사채 비중(distressed debt ratio)에서 에너지·경기소비재·산업재 업종이 전체의 65%를 차지했다. 신용등급 기준 부도가 임박한(CCC+ 이하) 투기등급 기업의 약 80%가 에너지와 경기소비재 등 취약업종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충격에 취약한 이들 업종 내에서 기업들의 도산이 증가하면 같은 업종의 고용·생산 비중 등을 고려할 때 경기회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여타 업종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한은은 "자금지원에도 불구하고 기업 실적 부진이 계속될 경우 생산성이 낮은 좀비기업(zombie firms)이 양산되거나 구조조정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며 "기업들의 전반적인 부채 증가는 고용, 신규투자 여력을 축소시킬 가능성이 있어 경기회복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