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24시간 무인매장·바로도착 확대…SKT, 3대 유통 혁신 추진

모델이 '프라이버시 보호 AI키오스크(안심거래 키오스크)'를 이용하고 있다. / SK텔레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언택트) 문화가 이동통신 유통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스마트폰을 직원의 도움 없이 구매하고 개통할 수 있는 무인매장도 도입 초읽기에 들어갔다. SK텔레콤은 이에 발맞춰 유통모델 개편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3대 유통 혁신'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3대 혁신은 고객 편의성 제고, 기술·사람 기반 매장 고객정보 보호 강화, ICT를 활용한 언택트 문화 확산이 골자다. 오는 9월에는 가입신청부터 휴대폰 받기까지 스스로 하는 무인매장도 선보일 예정이다.

 

◆ AI가 매칭해주는 '바로도착' 서비스…전국 커버리지 확대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바로도착' 서비스를 공식 온라인몰 T다이렉트샵을 통해 실시한다. T다이렉트샵에서 휴대폰을 주문하면 AI가 고객과 가까운 인근 SKT매장을 매칭하고, 해당 매장 직원이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다.

 

바로도착은 오는 24일부터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중심으로 시범 서비스를 먼저 시작한다. 오는 9월까지 전국 72개 시 대상으로 서비스가 확대된다.

 

SK텔레콤 측은 "매장 직원이 주문 즉시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전국 커버리지'로 시행하는 것은 업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정보통신기술(ICT)과 보안 전문가의 컨설팅을 기반으로 '프라이버시 청정 매장'도 구축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폰의 저장 데이터를 복구 불가능한 수준으로 삭제하는 '프라이버시 보호 AI키오스크(안심거래 키오스크)'를 이달 말 900개 매장을 시작으로 9월까지 전국 2500개 매장에 확대하는 식이다.

 

이 키오스크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로부터 포렌식 불가로 인증 받은 '난수랜덤방식'을 사용해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복구 불가능한 수준으로 삭제하고, 이에 대한 인증서 발급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난수랜덤방식이란 기존 데이터 위에 예측할 수 없는 난수를 덮어씌워 복구가 불가능 하도록 삭제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SK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중고폰 거래 솔루션 '민팃'을 탑재해 데이터 삭제와 단말기 판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했다. AI와 카메라를 활용한 실시간 감정을 통해 그 자리에서 중고폰의 가치를 측정해준다. 판매 결정시 대금을 고객 계좌로 즉시 입금해주거나 휴대폰 구매·요금 수납 등에 활용하도록 했다.

 

SK텔레콤 3대 유통 혁신 인포그래픽.

◆스마트폰 비교·수령까지 스스로 처리…무인매장 9월 오픈

 

오는 9월에는 고객이 모든 업무를 스스로 처리하는 무인매장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의 무인매장은 입장(셀프 체크인)부터 스마트폰 비교, AI기반 요금제 컨설팅, 가입신청 및 휴대폰 수령 등 개통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고객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

 

운영 시간은 365일 24시간 상시화 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전산 운영 시간 외에도 미디어·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체험, 악세서리 구매, 중고폰 판매 등 업무를 언제든 처리할 수 있다.

 

SK텔레콤 유영상 MNO 사업대표는 "언택트는 우리 생활의 모든 부분에 적용되는 필수적인 요소로 SK텔레콤도 이런 사회적 요구에 적응 부응하고자 이번 3대 유통혁신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언택트 시대에 맞춰 스마트폰 직영점·대리점에도 비대면 거래가 보편화될지 주목된다. KT 또한 지난해부터 직원대면 없이 자유롭게 KT 유·무선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언택트존'을 매장 전면에 배치한 차세대 매장을 전국 약 300지점으로 확산한 바 있다. 오는 20일에는 서울 종로구에 직원 응대를 최소화한 플래그십 매장을 오픈한다.

 

LG유플러스도 하반기 중 요금제 변경이나 조회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개발 완료하고, 체험매장과 직영점 중심으로 보급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