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등록에 우려 잇달아..개발 경쟁 가속화

러시아가 세계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공식 등록했지만, 기대보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등 서방 국가는 물론 보건 담당 국제기구들이 아직 임상이 충분하지 않다며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탓이다. 세계 국가들의 백신 개발 경쟁도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러시아 백신, 임상3상 빠졌다

 

12일 미국과 유럽 외신들은 잇달아 러시아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냈다. 이 백신은 임상 3상을 거치지 않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골자다.

 

앨릭스 에이자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 "백신에 있어 중요한 것은 최초가 아니다"라며 "백신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3상 임상시험으로부터 확보된 투명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독일 보건부 대변인 역시 "러시아 백신의 품질과 효능, 안전성에 대해 알려진 자료가 없다"고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러시아 백신에 대해 사전 자격 심사 절차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엄격한 검토를 거칠 계획이다.

 

타릭 야사레비치 WHO 대변인은 "어떤 백신이든 사전 자격 심사에는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모든 필수 자료의 엄격한 검토와 평가가 포함된다"며 "절차를 가속하는 것이 안전성과 타협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지난 11일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를 공식 등록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백신이 필요한 모든 검증 절차를 거쳤으며 본인의 딸도 백신의 임상에 참여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하지만 러시아가 아직 백신의 임상3상을 진행하지 않았다는 것이 논란이 됐다. 스푸트니크는 지난 달 70여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1차 임상 시험을 마쳤으며, 임상 2상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임상3상은 백신 등록 이후로 미뤘다.

 

세계 첫 백신을 생산하는 RDIF 키릴 드미트리예프 대표는 "백신 등록 이후 곧바로 3차 임상시험이 시작될 것"이라면서 "한 달 동안 수만 명의 자원자들이 접종받고, 10월부터는 자원자를 대상으로 대중 접종이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신 개발 속도 빨라진다

 

러시아 백신 등록으로 전세계 코로나19 백신 개발 경쟁에도 불이 붙을 전망이다.

 

현재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와 공동으로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단계에 진입했으며, 미국 제약사 화이자 역시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함께 3만명 규모의 임상 3상에 착수한 상태다.

 

유럽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함께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을 준비 중이다. 프랑스 사노피와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이 공동 개발하는 백신도 하반기 임상에 돌입한다.

 

중국 정부도 백신 개발에 적극적이다. 중국 시노백 생물유한공사는 브라질과 인도네시아에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국유 제약회사인 시노팜(중국의약집단) 역시 지난달 임상 3상 시험에 돌입했다.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미국 이노비오가 개발한 'INO-4800'과 제넥신의 'GX-19' 등 2건이 임상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임상 1·2a상을 진행 중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