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상온 노출 백신 믿을 수 없어..노약자, 임산부 유료접종 서둘러야"

62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는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의 무료 접종 가능 시기 까지 기다리지 말고, 유료 접종을 서두르는 것이 안전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아직 검사 결과가 나오진 않았지만, 운반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된 백신은 효과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사진)는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상온에 노출된 백신 물량이 얼마나 되고, 얼마나 긴 시간 노출이 됐는지 정부가 공개하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다"며 "검사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노약자, 기저질환자, 임산부는 9월 안에 접종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천 교수는 이대목동병원 호흡기센터장으로 신종 인플루엔자, 사스와 메르스 등의 감염병을 거치며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졌다. 국내외 학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통해 국내 호흡기 질환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로 손꼽히고 있다.

 

◆백신 효과 장담할 수 없다

 

천 교수는 이번 백신 운반 사고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신성약품은 지난 21일 무료 접종 물량인 백신 가운데 17만 도즈가 운송 과정에서 상온에 유출됐다고 밝혔다. 지난 22일부터 시작할 계획이었던 13∼18세 대상 무료 접종 물량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신성약품이 이제까지 공급한 물량 500만 도즈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다. 검사는 약 2주간 소요될 예정이다. 특히, 상온 노출된 물량 일부가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알려지며 우려를 키웠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보건복지부는 "백신이 냉동차를 벗어나 운송된 시간은 1 시간, 현실적으로 10분 이내"라고 밝히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인플루엔자 사백신은 25℃에서 2∼4주, 37℃에서 24시간 안정하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천 교수는 "장담할 수 없다"며 "사실상 실온에 노출된 물량은 전량 폐기하는 것이 맞다"고 선을 그었다.

 

부작용이 보고된 바는 없지만, 상온에 노출되면 백신이 가진 독감 예방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신성약품이 백신을 냉장 박스가 아닌 종이 박스에 담아 운송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온 노출 시간은 더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그는 "백신에 효능을 나타내는 단백질이 얼마나 상온에서 얼마나 오랜 시간 견디는지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아 입증하기 쉽지 않다"며 "백신 단백질은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상온에서 변성이 된다면 원상복구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관건은 폐기해야하는 백신 물량이다. 만일 식약처가 500만 도즈 전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면, 500만명 분량의 백신이 모두 사라지게 된다. 올해 확보한 백신 물량의 40%에 달하는 규모다.

 

◆노약자 돈주고라도 맞아야

 

무료 접종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유료 접종 수요가 커진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병의원 곳곳에서는 이미 백신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천 교수는 정부가 무료 접종 백신에 대한 신뢰를 되찾기 위해선 백신과 운송업체에 대한 조사, 검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는 상온 노출된 백신의 양이나, 상온 노출 시간, 경로 등을 밝히지 않고 있다"며 "어떤 검사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지도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온 노출이 되지 않은 나머지 물량은 순차적으로 풀어 다시 무료 접종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 교수는 기저질환자와 고령자, 임산부 등 고위험군은 유료 접종이라도 서두르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독감은 9월 부터 유행을 하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은 무료 접종이 시작될 때 까지 기다리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유료 접종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독감이 함께 유행하는 트윈데믹은 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천 교수는 "남반구에 유행기가 지났지만 트윈데믹은 없었다"며 "독감은 전염력이 높지 않고, 코로나19로 사람들이 개인 위생에 대한 경각심이 높기 때문에 트윈데믹을 걱정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건강한 사람들의 경우, 독감 백신을 맞지 못한다고 해서 문제될 것은 없다.

 

천 교수는 "백신을 맞아도 독감에 걸리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는게 훨씬 안전한 예방법이 될 수 있다"며 "국내에서는 독감 검사가 실시간 가능하고, 효과가 확실한 치료제도 있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