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76) 초기 백제 비밀 밝혀줄 '한국의 폼페이' 풍납토성

지난 5일 풍납토성을 찾은 시민이 산책을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풍납토성은 을축년(1925년) 한강 대홍수 때 서쪽벽이 허물어지면서 발견된 중국 동진제 청동초두 2점에 의해 세상 밖으로 나왔다. 우리나라에 문화재보호법이 제정 공포된 1963년 풍납토성 내부면적 22만여평을 제외한 외곽 성벽 2.3km 정도가 사적 제 11호로 지정됐다. 이듬해 서울대학교에서 시굴 조사한 결과를 가지고 기원후 1세기를 전후한 시기 읍성 정도로만 여겨졌고 이후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져 갔다.

 

풍납토성 출토 막새./ 서울시

 

 

서울 곳곳에서 개발 붐이 일던 1997년 풍납 현대아파트 재건축 공사 현장에서 백제토기편이 출토되면서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진행됐다. 결론적으로 지금으로부터 23년전 지하 4m 깊이에서 툭 튀어나온 백제의 토기조각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졌던 한성백제의 수수께끼를 풀어줄 열쇠가 됐다.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에는 온조왕이 기원전 18년 백제를 건국하며 위례성을 도읍으로 정했다는 기록이 있다. 역사·고고학계는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나오는 초기 도읍지 하남위례성의 위치가 어디냐는 문제를 두고 골머리를 앓아왔다. 1980년대 송파구 올림픽공원 조성 과정에서 몽촌토성에서 백제 토기와 함께 중국제 도자기, 금동제 과대 금구 등이 확인되면서 이곳이 하남위례성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나 풍납토성 성벽과 내부 건물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축조 연대가 몽촌토성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단서들이 발견됐다. 제례를 목적으로 한 신전건물 자리인 경당지구와 왕궁 우물로 보이는 어정, 창고, 도로 유구가 잇따라 확인되면서 풍납토성이 위례성이라는 견해가 학계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개발이냐 보존이냐

 

이달 5일 풍납토성을 방문했다./ 김현정 기자

 

 

지난 5일 오후 '한국의 폼페이' 풍납토성을 방문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10번 출구로 나오면 갈색 몸통에 파리채처럼 생긴 흰색 날개바퀴 4개가 달린 풍차와 함께 풍납토성 입구가 모습을 드러낸다. 풍차 조형물은 마을에 바람드리성인 풍납리 토성이 있어 풍납동으로 불리게 된 지명의 유래를 알리고자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날 풍납토성을 찾은 회사원 김민성(53) 씨는 "서울 한복판에서 백제 사람들이 만든 토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이 큰 행운으로 느껴진다. 그런데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그냥 평범한 언덕배기처럼 보인다"면서 "20년 넘게 발굴했다던데 별 진척이 없는 것 같다"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풍납토성 성벽 일부(판축법)./ 서울시

 

 

풍납토성 발굴 작업이 지지부진한 건 개발과 보존을 둘러싼 갈등 때문이다. 발굴조사 작업은 초기부터 진통을 겪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풍납토성 조사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97년 1월 선문대학교 이형구 교수의 제보로 풍납토성 내 아파트 재건축부지에서 터파기 공사 중 백제시대 토기편 등 유물이 출토된 사실이 알려지게 됐다. 발굴 지점은 풍납동 231-3번지 외 39필지 3200여평(이하 가지구)의 면적에 기존 연립주택을 허물고 아파트를 재건축하기 위한 풍납현대연합주택조합부지였다.

 

가지구는 사적으로 지정 보호되는 풍납토성 동벽에서 약 100m 안쪽에 위치한 곳으로 터파기 공사 구간의 토층 단면으로 볼 때 지표하 2m 남짓 되는 깊이에서 백제시대 유물포함층과 주거지, 수혈로 추정되는 유구의 단면들이 확인됐다. 문화재관리국은 당시 발굴분과 문화재위원장이었던 한병삼 선생을 단장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와 서울대학교, 한신대학교 등으로 구성된 조사단을 꾸려 긴급 발굴 조사에 들어갔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부터 풍납토성 내부에 주민들이 거주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3중의 환호유구와 백제시대 가옥 구조를 복원하는 데 결정적 자료가 될 20평이 넘는 대형의 6각형 주거지 등이 발굴됐다.

 

지난 5일 한 시민이 풍납토성 내 산책길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당시 발굴조사 과정에서는 영광보다 훨씬 더한 아픔과 고통이 있었다"면서 "오로지 새집을 빠른 시일 내에 짓고자 하는 주택조합원들과의 끊임없는 마찰 속에서 실로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긴박한 심정으로 조사를 진행해야 했으며 매일매일 시공사인 현대건설과 실랑이를 벌여야만 했다"고 밝혔다.

 

이어 "1월 중순부터 시작된 조사였기에 영하 10도를 훨씬 밑도는 혹독한 추위에도 현장 조사를 벌여야 했고 꽁꽁 언 손과 발을 모닥불에 녹여가며 실측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으며 어떤 날은 눈과 비를 맞아가며 땅을 파야 하는 강행군도 불사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역사에 첫선을 보이는 풍납토성의 발굴조사에서 단 한점의 자료라도 더 찾고자 했던 조사원들의 열정과 발굴조사로 애를 태우는 주민들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자 했던 사명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문화재를 사수하기 위한 고군분투는 현재진행형이다. 풍납토성 복원사업을 벌이고 있는 송파구는 지난달 해당 부지에 대한 강제수용이 정당하다는 대법원 판결에도 땅을 무단 점유하고 있는 삼표산업을 상대로 공유재산 인도소송을 냈다.

 

구는 "복원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 지난 15년간 법 절차에 따라 사업인정고시, 소유권 이전, 사용허가 불허 처분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이번 소송 외에도 공유재산 무단점유에 대한 변상금을 부과하는 등 공장 이전을 위한 조치를 가속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재 복원, 어디까지 왔나?

 

이달 5일 시민들이 송파구 풍납토성에서 운동을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이달 5일 오후 풍납토성에서 만난 송파구 주민 박모(34) 씨는 "풍납토성이 속히 복원돼 우리 아이들이 교과서 속 역사를 실물로 체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15년 풍납토성 복원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2020년까지 총 5137억원을 투입해 토지보상을 조기에 끝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는 작년까지 47필지(1만2891㎡)의 소유권 취득을 완료(삼표공장 5필지 포함)했다. 구체적으로 소규모주택 보상 대상 46필지(5957㎡) 가운데 42필지(5381㎡)에 대한 협의를 마쳤다. ㈜삼표 풍납공장 잔여필지 5필지는 수용 재결 인용에 따른 소유권 이전을 완료했다고 시는 전했다. 시는 풍납토성의 역사성 규명을 위해 올해 1360억원을 들여 보상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