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올 여름, 기후변화가 서울 오존 발생 경향 바꿔"

최근 10년간 오존예경보제 기간(5월∼9월)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이하 연구원) 오존경보제를 처음 실시한 1995년 이래, 올해 6월이 월별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가 가장 많았으며, 5·7·8·9월은 최근 5년 내 동월 대비 최저 수준이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6월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는 9일이었으며, 월평균 0.044ppm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나머지 5·7·8·9월은 0~1일 발령됐다. 특히 8월의 월평균 농도는 0.019ppm으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농도를 기록했다. 9월은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0.028ppm으로 월별 평균 농도 변화폭이 컸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최근 10년(2010~2019) 동안 오존주의보 연평균 발령일수는 8.7일이었으나, 금년에는 12일로 늘었다. 오존농도 또한 올해 0.031ppm으로 작년 0.033ppm보다는 줄었지만, 최근 10년 평균인 0.029ppm보다 높았다.

 

연구원은 "지난 6월 서울의 기온이 23.9도로 역대 3위를 차지할 만큼 높아 오존 발생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됐다"면서 "반면 7·8월은 54일간의 역대 최장 장마의 영향으로 고농도 오존 발생에 불리한 조건이었다"고 덧붙였다.

 

또 연구원이 서울 지역의 오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원인 물질을 조사한 결과, 질소산화물(NOx)과 함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오존예경보제 기간 동안 중국의 오존 평균 농도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9월 중국 전역의 오존 평균 농도는 0.034ppm으로 전년 같은 기간 평균농도(0.037ppm)보다 약 8% 낮아졌다.

 

신용승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서울의 연평균 오존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과 함께 오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 물질 줄이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연구원은 올해 최첨단 분석장비인 모바일랩을 도입해 미세먼지, 오존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 발생원을 추적하고 저감 방안을 모색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