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마음이 우주

image

얼마 전에 '양자물리학이 밝힌 기적의 원리'라는 내용을 지인이 보내왔다. 생각하면 이루어지는 이유를 양자물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내 생각이 내 현실을 만든다는 것, 우주를 가득 채운 양자는 우리의 생각 에너지에 바로 반응한다.

 

이 얘기는 이미 석가모니부처님이 이천 육백년 전에 깊은 수행을 통해서 직관하고 통찰해 낸 바이며 불교 교학의 중요한 중심축 중의 하나이다. 특히 대승불교로 발전하면서 화엄사상에 면면히 녹아 있는 주장 아니던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만사가 만물이 마음이 만든다는 것이 화엄경을 관통하는 가르침임을 생각해낸다면 양자물리학에서 하는 생각에너지가 놀라운 신발견이 아니라는 얘기다. 내가 어떻게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서 행, 불행은 물론 인생의 성공과 실패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주인이 될 수 있다.

 

대개는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될 때 어떤 주장이나 이론을 인정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합리적 추론의 범위는 눈에 보이고 들을 수 있는 범위로만 국한시키는 것을 과학이라고 단정한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과학은 옛 선인들의 통찰을 증명해내느라 정신이 없을 것만 같다.

 

서양의 근현대 물리학자들은 반야심경에 보이는 공(空)사상에 대하여 찬탄을 금치 못한다. 어떻게 그 옛날에 뻔히 눈에 보이고 만져지는 물질이 공하다고 통찰할 수 있었단 말인가. 그렇게 직관할 수 있는 근거는 보는 기능을 하는 눈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마음작용, 식(識)에서 꿰뚫어 본 것이다.

 

어이됐거나 양자물리학의 물질과 마음에 대한 인식은 불교적 세계관을 떠나서라도 인간으로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며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한다. 마음이 우주이니 나의 마음이 우주의 주인도 되고 종도 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