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카드사 모집인 이어 영업점도 감소…전년 대비 14% 감소

8개 카드전업사 영업점 현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영업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카드모집인 감소에 이어 카드사 영업점 마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상반기 8개 카드전업사(신한·삼성·KB국민·현대·우리·롯데·하나·BC) 국내 영업점포는 180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29% 감소한 수치다.

 

카드사의 영업점포 수는 2년째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다. 2017년 하반기 331개에 달했던 카드사 영업점포 수는 ▲2018년 상반기 308개 ▲2018년 하반기 264개 ▲2019년 상반기 210개 ▲2019년 하반기 206개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여기에 지난해말까지만 하더라도 영업점포수가 200개선을 유지했지만 올 상반기 들어 이마저도 무너진 것이다.

 

특히 현대카드의 영업점 축소가 두드러졌다. 현대카드의 올 상반기 전국 영업점 수는 총 31개로 전년 동기 대비 22개(41.51%) 줄었다. 2년 전인 2018년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89개의 영업점을 유지했으나 2년 새 절반 이하로 줄였다. 같은기간 하나카드와 우리카드도 각각 8개(50%), 3개(8.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영업점 축소 배경으로 비대면·온라인 영업의 확대가 꼽힌다. 이미 몇 년 전부터 온라인 발급 비중이 확장하면서 온라인 영업 비중이 커졌다. 여기에 더해 올 초부터 국내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영업이 불가능한 수준에 가까워지자 비대면 영업 확산세가 더욱 가속화한 것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영업 확산세로 카드사들도 이에 따른 비용절감을 진행하고 있다"며 "2016년 2만명을 넘었던 카드모집인 수가 점차 줄어들어 이제는 1만명 수준에 근접한 것 처럼, 영업점도 마찬가지로 통폐합을 통해 줄여 나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카드모집인 수는 지난 2016년 2만2872명에서 꾸준히 하락해 2019년 1만1382명까지 하락했다. 이어 올 상반기에는 1만1703명까지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두 달 후인 8월 기준 1만655명으로 다시 하락했다.

 

한편 카드사의 영업점 수가 현재를 기점으로 더는 하락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 카드 업계 관계자는 "눈에 띄게 영업점 수를 줄여가는 일부 카드사를 제외하고서, 지난해와 비슷한 수를 유지하는 카드사들이 있다"며 "지난해까지 통폐합을 통해 수를 줄인 만큼 현재의 영업점 수를 적정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카드모집인에 대해서 "향후 코로나19가 종식되면 다시금 대면영업 인력 필요성이 늘어나면서 카드모집인 수가 늘어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