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 시민 반대 무릅쓰고 광화문광장 첫삽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16일 오전 시청에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사업 착공 관련 온라인 브리핑을 하고 있다./ 서울시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재조성을 위한 첫삽을 뜨겠다고 하자 시민사회단체가 사업 졸속 강행을 규탄하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16일 '사람이 쉬고 걷기 편한 광화문광장'을 조성하고자 내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시는 세종문화회관이 있는 서측도로는 보행로로 만들어 광장을 넓히고 주한 미군대사관 앞 동쪽 도로는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7~9차로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사업비로 총 791억원이 투입된다. 당초 980억원보다 189억원 감액됐다.

 

이날 오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시연대·문화도시연구소를 포함한 총 9곳의 시민단체들은 시청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밀어붙이기식으로 하는 것이 공무원의 성과가 돼선 안 된다"며 "광화문광장 재조성 사업의 무리한 추진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고 반드시 이 공사를 중단시킬 수 있도록 여러 행동을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같은날 시청에서 개최된 기자설명회에서 "지난 4년여간 시민들과 함께 구상한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을 구현하기 위한 첫삽을 뜬다"면서 "시민의 집단지성은 차로로 단절된 회색 콘트리트 광장, 세계 최대의 중앙분리대라는 오명 속에 정체성을 잃어버린 광장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나침반이었다"고 말했다.

 

경실련 등 시민사회단체는 "시는 4년간 300회 이상의 회의와 토론과정을 거쳐 시민 뜻에 따라 추진해온 사업이라며 서측광장에 대해 2019년 12월 진행한 시민토론단 300명의 설문결과(64.9% 찬성)를 근거로 제시하지만 정말 궁색하다"면서 "오세훈 시장도 시민 설문결과를 토대로 중앙광장을 결정했는데 이와 무엇이 다르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300회 시민 소통의 성과가 (사업을) 중단없이 추진하는 것인지 서울시는 자문해보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시민 반대를 무릅쓰고 새 광화문광장 조성 사업을 강행하기로 결정한 시는 2단계로 나눠 공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우선 내년 2월까지 동측도로를 확장·정비하고 같은해 5~10월에는 서쪽에 공원을 품은 광장을 만들 예정이다.

 

시는 공사 기간 중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22개 교차로의 신호를 조정, 원거리 차량의 통행량을 도심 외곽으로 분산·우회시킨다. 근거리 차량은 신호 최적화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공원으로 변하는 광장 서쪽엔 시민들이 사계절을 느낄 수 있도록 키 큰 나무 37종 317주와 키 작은 나무 30종 6700주를 식재한다. 또 2698㎡ 면적에 2종의 잔디를 심고, 자전거도로(폭 1.5m·길이 550m)도 만든다.

 

경복궁 광화문 월대 등 문화재 복원과 주변 정비사업은 이듬해 상반기 행정 절차에 착수해 정밀 발굴조사를 벌이고 2023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이날 실시간 온라인 브리핑에 참석한 시민 A씨는 "시위를 못 하게 서둘러 공사를 시작하는 것"이라면서 "공사하면 통행도 힘들고 복잡해질 텐데 의도가 의심스럽다. 솔직하게 밝히라. 돈이 없다 하면서 자꾸 일만 벌이는 이유가 무엇인지, 서울시는 더 이상 믿음이 가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서 권한대행은 "물론 아직 광화문광장의 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존재한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완 과정을 통해 시민의 목소리를 담아 나갈 것"이라면서 "완성형이 아닌 진화형의 광장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