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중증환자 치료병상 2개 남은 서울시, '회복기 전담병원' 지정·운영

박유미 서울시 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통제관이 15일 오전 시청에서 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을 열고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서울에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이 2개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병상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회복기 전담병원'을 지정·운영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관내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 77개 가운데 75개가 사용 중에 있어 입원 가능한 병상은 2개라고 15일 밝혔다.

 

박유미 서울시 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통제관은 이날 시청에서 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을 열고 "12월 14일 기준 수도권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가동률은 76.7%이고, 서울시는 84.1%다"면서 "시는 15일 상급종합병원 2곳에 중증환자 전담치료 병상 3개를 확보했으며 시립병원에 57병상을 추가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치료 병상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회복기 전담병원'을 새롭게 지정하고 15일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회복기 전담병원은 치료 후 인공호흡기를 탈착한 코로나19 중증환자들 가운데 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으나 기저질환으로 추가 치료가 필요한 이들을 전원해 돌보는 곳이다. 시는 현재 서울백병원,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을 회복기 전담병원으로 선정해 운영을 시작했으며, 점차적으로 40병상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무증상이나 경증환자를 돌보는 서울시 생활치료센터는 9개소로, 총 1929병상을 갖추고 있다. 사용 중인 병상은 1215개이며, 즉시 가용 가능한 병상은 302개로 집계됐다.

 

한편 시는 빠른 검사와 무증상 확진자 발견으로 코로나19를 차단하고자 시민 누구나 무료로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를 운영 중이다.

 

임시 선별검사소에서는 비인두 검체를 이용한 '비인두 도말 PCR 검사', 타액을 이용한 'PCR 검사', 이른 시일 내에 결과를 알 수 있는 '신속항원검사' 3가지 방법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시는 정확도가 높은 비인두 도말 PCR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14일 기준 서울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총 2240명이 검사를 마쳤다. 시는 비인두 도말 PCR 검사 1844건, 타액 이용 PCR 검사 378건, 신속항원검사 18건을 수행했다. PCR 검사는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고, 신속항원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 나왔다고 시는 덧붙였다.

 

시는 자치구와 협력해 이날 임시선별검사소를 22개소로 늘렸고 이를 56곳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임시 선별검사소 위치와 운영 시간은 서울시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박유미 방역통제관은 "날씨가 추웠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검사를 하고 있다"며 "가능하면 많은 시민이 검사를 받도록 지원하고 확진자 관리에 어려움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조금이라도 의심 증상이 있거나 무증상이라도 불안한 시민들은 모두의 안전을 위해 누구나 적극적으로 검사에 참여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