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편의점, 맛에 재미까지 더한 이색 먹거리 늘리는 이유는

모델들이 '밥굽남 우삼겹덮밥'과 '밥굽남 빅소불고기버거'를 들고 있다 /GS25

편의점 업계가 맛에 재미까지 더한 먹거리 상품을 선보이며 MZ 세대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유명인을 앞세운 도시락을 출시하는 것은 물론, 직접 만들어 먹는 이색 상품까지 내놓으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2030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면서 만족도를 높이려는 전략이다.

 

MZ 세대 공략을 위한 일환으로 대표적인 것이 유명 연예인 또는 인플루언서와 함께 상품을 출시하는 것이다.

 

세븐일레븐은 국민 엄마 김수미를 앞세워 '수미네 밥먹자얘들아' 도시락을 출시했다. 떡갈비, 새우튀김, 매운 어묵볶음, 계란말이 등 김수미표 집밥 반찬들을 푸짐하게 담았다. 반찬 가짓 수만 12가지인데다 가격도 4000원대 초반으로 가성비를 높여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수미네 밥먹자얘들아' 도시락 출시/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8월 말 '나팔꽃F&B'와 협력관계를 맺고 다양한 방송활동을 통해 집밥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배우 김수미를 세븐일레븐 '맛'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김수미는 세븐일레븐과 함께 김수미표 레시피를 담은 간편식 개발 및 출시 과정에 함께 참여할 뿐만 아니라 음식 맛 평가 및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효과는 상당했다. 지난해 수미네 도시락이 처음 출시됐던 당시 9월부터 12월까지 세븐일레븐 도시락 매출은 전년 대비 28.8% 신장하기도 했다.

 

GS25는 구독자 131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밥굽남'과 함께 도시락·간편식을 내놨다. 밥굽남은 '산적TV 밥굽남' 채널을 운영 중이며 야외 산채에서 고기 쿡방·먹방(요리하는 방송과 먹는 방송의 줄임말)으로 인기가 높다. 방송으로 대리만족을 느끼던 고객들에게 직접 맛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만족감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모델이 된장 담그기 키트를 체험하고 있다./BGF리테일

업계 관계자는 "SNS를 일상화하는 MZ 세대를 공략하면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상품 노출·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관심을 끌 수 있는 이색 컬래버레이션 또는 차별화한 상품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DIY 상품도 등장했다.

 

CU는 유럽에서 즐겨 마시는 뱅쇼를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과일 뱅쇼 키트'에 이어 '된장 담그기 키트'를 출시했다. 국산 메주 가루, 소금, 발효 용기 등 된장을 담글 때 필요한 모든 구성품을 한데 모아 키트로 제작한 것.

 

코로나19 발병 이후 직접 만들어먹을 수 있는 홈메이드 상품이 인기를 끄는 것에 착안해 기획됐다. 실제로 지난해 CU에서 판매된 DIY 상품 종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두 배 가량 늘었고 매출도 57.5% 신장했다.

 

CUX하이트진로 디저트 시리즈 / BGF리테일

구매욕을 자극시키는 캐릭터 컬래버 상품 출시도 꾸준히 하고 있다.

 

최근 주요 편의점들은 하이이트진로와 손잡고 진로이즈백 컬래버 상품을 출시했다.

 

GS25는 진로안주플래터, 두꺼비감자칩, 두껍면떡볶이, 두꺼비헛개껌 등 협업 상품 4종을, CU는 두꺼비 캐릭터를 활용한 디저트 2종(쫀득한 두꺼비 마카롱, 깔라만시 컵케익)을 선보였다. 이마트24는 PL상품 '아임이 두꺼비 젤리' 2종을 출시했다.

 

한 관계자는 "소비를 통한 '재미'를 추구하는 MZ세대와의 소통을 늘리기 위한 업계의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