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홈플러스, 온라인 서비스 개편…디지털 전단 도입

모델들이 21일 서울 등촌동 홈플러스 강서점에서 '디지털 전단' 론칭을 알리고 있다. /홈플러스

갑작스러운 언택트 문화 정착에 대형마트 역시 온라인으로 경험하는 고객들의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다. 때문에 온라인 상에서도 매장을 방문해 장을 볼 때처럼 상세히 제공되는 상품 정보와 할인 혜택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홈플러스는 할인 행사를 안내하는 전단을 디지털화하고 멤버십 회원 대상 서비스를 리뉴얼하는 등 온라인 서비스를 대폭 개편한다고 21일 밝혔다.

 

먼저, 홈플러스 전용 멤버십 애플리케이션 '마이홈플러스'를 통해 매주 200여 개 상품과 할인 행사를 소개하는 '디지털 전단'을 론칭했다.

 

이는 매주 목요일 대형마트 입구에서 볼 수 있는 종이 전단을 디지털화한 것으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이 선호하는 상품들을 구매 주기에 맞춰 제안하는 '고객 맞춤 상품진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매주 뉴스 형식의 동영상을 통해 행사 상품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고객 개별적으로 장보기 리스트를 작성·보관할 수 있는 '나의 메모' 기능도 탑재했다. 지인에게 추천하고 싶은 상품을 소개하는 '공유하기' 기능도 갖췄으며 구매가 필요한 경우 디지털 전단에서 바로 홈플러스 온라인몰, 홈플러스 더클럽으로 이동해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홈플러스 디지털 전단은 친환경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지난 2018년부터 마이홈플러스 앱을 통해 모바일 영수증을 제공해 종이 줄이기에 앞장 서 온 가운데, 이번 디지털 전단을 통해서는 연간 1341톤(나무 한 그루 당 종이 300kg 환산 기준)에 해당하는 종이를 아껴 나무 4471그루를 보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홈플러스는 자동차 마니아들에게 관련 정보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만든 멤버십 '오토클럽'을 한층 업그레이드해 선보인다. 그 동안은 마이홈플러스 앱을 통해 '구독형 방문 정비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나 지난 19일 제스퍼(플랫폼 운영), 카123(구독 상품 제공), 디지파츠(플랫폼 고도화) 등 기업과 MOU를 체결하고 오토클럽 사업 확대를 선언했다.

 

첫 걸음으로 오토클럽 전용 사이트를 21일 오픈하고 자동차 관련 사업을 확장했다. '구독형 방문 정비 서비스' 외에도 '불스원 VIP프리미엄 스팀 세차' 쿠폰을 판매한다.

 

또한 홈플러스가 운영 중인 '마이홈플러스' 멤버십 클럽의 회원이 50만 명을 돌파해 기념 행사를 진행한다. 홈플러스는 ▲고기 덕후를 위한 '미트클럽 The M' ▲다양한 건강 관련 상품을 소개하는 '건강클럽 The H' ▲육아에 도움을 주는 '베이비&키즈클럽' ▲패션 마니아를 위한 '패피클럽' ▲반려동물 가족을 위한 '마이 펫 클럽' 등 현재 총 9개의 멤버십 클럽을 운영하고 있다.

 

고객의 취향을 겨냥한 홈플러스의 전략 덕에 마이홈플러스 클럽 회원 수는 현재 약 54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104% 증가했다. 이는 홈플러스의 매출로도 이어져 매월 각 클럽별 쿠폰이 제공될 때마다 해당 카테고리 매출이 평소보다 최대 10% 상승했으며, 연간 약 50억원의 매출 증대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럽 회원 50만 돌파를 기념해 다음달 3일까지 클럽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 170여 가지를 모아 최대 50% 할인 혜택, 최대 5000원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클럽 위크' 행사도 진행한다.

 

최영선 홈플러스 CX플랫폼팀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고객 편의를 위해 간편하게 모바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전단'을 기획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마케팅 차원에서 오프라인 채널의 전통성은 유지하면서 온라인 채널의 특수성을 가미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작업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