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푸드

수제맥주도 애국? 수입맥주 자리 국산이 대체

일본 주류를 판매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게시된 서울 시내 한 마트 주류코너 모습./뉴시스

최근 국내 수제 맥주 시장에 훈풍이 부는 반면, 상대적으로 수입 맥주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지난해 맥주 수입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 수입액은 2억2692만달러(약2503억원)로, 전년(2억8089만달러)보다 19.2% 줄었다.

 

특히 작년 일본 맥주 수입액은 567만달러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일어나기 전인 2018년 7830만달러와 비교해 10분의1 이하로 급감했다. 이 기간 수입량은 8만6676톤에서 6490톤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19년 여름 일본상품 불매운동으로 감소한 수입액이 현재까지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하반기부터 일부 대형마트, 편의점을 중심으로 일본 맥주 할인행사가 이뤄졌지만 하락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현재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열기는 식었지만, 소비자들이 일본 맥주를 대체할 상품을 찾은 이상 다시 일본 맥주를 구매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판단이다.

 

국산 수제맥주 인기로 수요가 몰리며 공급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곰표맥주

수입 맥주의 자리를 점점 좁아진 것과 대조적으로 국내 수제 맥주 시장은 크게 성장했다. 한국수제 맥주협회에 따르면 국내 수제 맥주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 633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2024년에는 3000억원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1월부터 술에 세금을 매기는 방식이 기존 종가세(가격)에서 종량세(용량)으로 바뀌면서 수입 맥주와 국산 수제 맥주의 판도는 바뀌었다. 그동안 수입 맥주는 과세 체계의 수혜로 성장한 바가 크다.

 

반대로 수제 맥주는 소규모 제조 방식 탓에 원가가 높아 종가세 체제에서 많은 세금을 내야 했다. 유예기간이 끝난 뒤 지난해 7월부터 종량세가 본격 시행되자 모든 맥주의 리터당 세금이 같아졌다. 수제 맥주 브랜드들은 기존 대비 20~30%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에 풀렸고, 수입맥주만 누리던 '4캔에 1만원' 프로모션을 경쟁적으로 진행했다. 수입 맥주의 가격경쟁력이 하락한 것.

 

특히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집에서 술을 마시는 '홈술' 문화가 확산한 것도 국내 수제 맥주 수요가 증가의 유이로 꼽힌다. 회식과 모임 대신, 집에서 다양한 개성을 지닌 수제 맥주를 즐기는 소비자들이 증가했다. 세븐브로이의 '곰표맥주'는 출시 3일 만에 생산물량 10만개를 완판하고, 일주일 만에 누적 판매 30만개를 돌파했다. 제주맥주는 업계 최초로 올해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할 만큼 성장세를 달린다.

 

국내 수제 맥주 인기가 증가하자 식음료 업계도 수제 맥주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교촌치킨 운영사 교촌에프앤비는 LF그룹 자회사인 '인덜지'의 문베어브루잉 사업부 인수를 추진 중이다. BBQ는 오는 3월 이천에 수제 맥주 양조공장을 건립해 수제 맥주를 직접 생산,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생활맥주 관계자는 "다양한 맛의 국산 수제 맥주는 점점 세분되고 있는 개인의 취향을 만족하게 할 비장의 무기"라면서 "2019년 주세법 개정으로 음식과 함께 사업 돌파구로 수제 맥주 사업에 뛰어드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