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코로나19로 지난해 서울 지하철 수송인원·운송수입 27% 급감

시민들이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열차를 타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손진영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서울 지하철 수송 인원이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통공사는 28일 2020년 공사 운영구간의 수송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한 해 서울 지하철의 총 수송인원은 총 19억7912만명(일평균 541만9368명)으로 전년 27억 2625만명(일평균 746만9180명)과 비교해 27.4% 줄었다. 

 

공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재택근무를 하면서 대중교통 이용 수요가 줄어 수송인원이 감소했다"며 "연간 수송량 흐름을 살펴봤더니 연휴 기간을 제외하고 거리두기 단계 조정에 따라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수송인원 감소로 인해 공사의 운수 수입도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공사의 운수 수입은 2019년 1조6714억원에서 지난해 1조2199억원으로 4514억원 줄었다. 공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운수 수입 감소분은 2020년 공사 총 적자(9872억원)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수송인원이 가장 많이 줄어든 노선은 1호선으로, 감소율은 33.1%에 달했다. 반면 수송인원이 가장 적게 줄어든 노선은 9호선 2·3단계 구간으로 감소율은 18.8%에 그쳤다. 

 

2020년 수송인원 감소폭 1위를 기록한 역은 4호선 명동역으로 승객이 전년 대비 58.4% 쪼그라든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2호선 종합운동장역(56.2%), 6호선 이태원역(49.4%) 순으로 수송인원 감소폭이 컸다. 

 

공사 관계자는 "명동역과 이태원역은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들의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이들의 이용수요가 급감했다"면서 "종합운동장역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스포츠 경기 개최 등이 어려워지면서 관람객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통학 수요 감소로 2호선 이대역(49.0%)과 한양대역(48.7%),3호선 동대입구역(48.5%)을 포함한 대학 인근 역의 수송인원도 절반정도 줄었다고 공사는 전했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작년 한 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승객이 크게 줄어드는 등 공사로서도 매우 어려운 한 해였다"며 "코로나19의 완전한 극복을 위해서는 아직 시간이 많이 필요한 만큼, 올 한해도 안전과 방역을 꼼꼼히 살펴 시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지하철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