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연초부터 온·오프 사업 광폭행보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신세계그룹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연초부터 온·오프 사업 광폭행보

 

"위기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내고 10년, 20년 지속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판을 바꾸는 대담한 사고로 도전해달라"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신년사를 몸소 실행에 옮기고 있다. 연초부터 프로야구단을 인수하는가 하면 포털사이트 1위 기업인 네이버와 만나는 등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것. 정 부회장의 행보는 빠르게 변화하는 유통 환경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지난 28일 정 부회장은 네이버 사옥을 방문해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만났다. 유통업계와 IT 업계를 주름잡는 두 기업의 만남에 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이날 어떤 논의가 오갔는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커머스 분야에서의 협력이 논의됐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신세계와 네이버의 만남이 성사된 배경에는 쿠팡이 거론되고 있다. '제2의 아마존'을 표방하는 쿠팡은 물류, 가격 전략에 이어 OTT사업 '쿠팡플레이'를 론칭하는 등 플랫폼 확장까지 나서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쿠팡의 궁극적인 목표는 유료 회원 증가를 통한 수익성 개선이다.

 

쿠팡은 최근 나스닥 예비심사를 통화해 이르면 1분기 내 상장할 것으로 보인다. 쿠팡의 상장 후 기업 가치는 300억달러(약 32조8400억원)로 점쳐진다.

 

상장을 통해 대규모 자금을 확보할 경우 쿠팡은 신세계와 네이버 양사에 위협이 된다. 이에 신세계와 네이버가 뭉친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들은 신세계그룹의 유통망과 네이버의 IT 역량이 결합하면 산업계를 재편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정 부회장의 과감한 행보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앞서 26일에는 SK텔레콤과 SK와이번스 야구단 인수 MOU를 체결해 화제를 모았다.

 

인수 주체는 이마트로 야구단과 야구연습장 등을 1353억원에 사들이기로 했다.

 

정 부회장은 프로야구단이 이마트의 새로운 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프로야구는 2016~2018년 800만 관중을 기록한 국내 최고 인기 스포츠인 데다 관중의 60% 이상이 2030세대로 미래 주요 소비계층인 MZ세대와 일치한다.

 

정 부회장은 야구장을 '라이프스타일 센터'로 리뉴얼해 야구 팬들이 야구장에서 신세계그룹의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추후에는 그룹 상품 개발 역량을 활용해 식품과 생활용품, 반려동물용품 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실적이 부진한 사업은 과감히 철수하며 대대적인 체질 개선을 단행했다. 올해는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한편,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유통업계의 중심축이 온라인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가운데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생존을 위해서는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고객 경험도 확장해야 한다는 경영철학을 내세우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