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실적 타격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R&D) 투자를 줄이지 않으며 R&D 중심 제약기업의 면모를 이어나갔다.
한미약품은 4일 지난 한해 연결기준 매출액 1조759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대비 3.4% 가량 줄어든 규모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87억원, 순이익 188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3%, 70% 줄어들었다.
회사측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에도 한미약품은 국내 원외처방 매출 부문 등에서 호실적을 달성했으나, 해외수출 및 북경한미약품 등이 코로나19 타격을 받았다. 특히 지난해 3분기 사노피에 기술수출한 신약 권리반환에 따른 공동연구비 잔액이 일괄정산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한미약품은 여전히 매출액 대비 20%가 넘는 연구개발 투자를 이어갔다. 지난해 한미약품의 R&D 투자는 2261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21%를 차지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2014년 부터 2019년 까지 국내 R&D 투자 1위 자리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기업이다.
꾸준한 R&D의 성과는 점차 가시화 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에피노페그듀타이드를 미국 MSD에 1조원대 규모로 기술 수출했고, 자체 개발중인 랩스 트리플 애고니스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패스트트랙 및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호중구감소증 치료제인 롤론티스와 경구용 항암신약 오락솔은 올해 FDA 시판 허가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한미약품이 독자 개발한 주요 개량·복합신약들도 지속 성장하고 있다. 아모잘탄패밀리 1165억원, 로수젯 991억원, 에소메졸 40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비뇨기 품목 12종의 매출이 1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제품 포트폴리오의 균형 있는 성장세가 이어졌다. 이 같은 실적을 토대로 한미약품은 3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시장 매출 1위를 달성했다.
한미약품 대표이사 우종수 사장은 "전세계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한미약품은 차별화된 제품을 기반으로 견고한 성장을 이어나갔지만, 사노피 등 이슈들을 단기간에 해소하느라 전년 대비 몇몇 지표의 하락이 있었다"며 "올해는 FDA 허가가 기대되는 신약 2종을 비롯해 다수의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이 본격화하는 시기인 만큼 보다 안정적이고 가시적인 성과가 창출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