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코로나로 서울버스 승객 24.1%↓, 운송수입 4738억원 감소

서울시 전기버스 모습./ 서울시

 

 

코로나19 장기화로 온 업계가 신음하는 가운데 서울버스 역시 직격탄을 피하지 못하고 경영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2020년 서울버스 총 승객 수가 전년 대비 4억6342만명 감소(24.1%)했고, 운송 수입은 4738억원(29.1%) 줄었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버스 조합의 자체 대출과 서울시의 긴급 추경 지원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노선이 정상 운행이 어려운 위기에 놓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하늘길이 막힌 영향을 그대로 받은 공항버스 상황이 가장 심각했다. 지난해 총 수송 인원은 212만명으로 전년보다 1242만명 줄었다. 감소 폭은 85.4%에 달했으며, 최대 99.1%까지 줄어든 달도(5월) 있었다고 시는 덧붙였다. 같은 기간 공항버스 운임 수입은 85.7%(1571억원→225억원) 급감했다.

 

다음으로 심각한 것은 마을버스였다. 2020년 이용객이 전년 대비 약 27%(1억1500만명) 줄었다. 코로나 확산세가 두드러졌던 3월과 12월에는 40% 전후까지 승객이 감소했다. 지난해 마을버스 운송 수입금은 1757억원으로 전년 대비 635억원(26.5%) 쪼그라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용객수 감소율이 큰 상위 10개 노선 중 8개 노선이 모두 대학가 주요 지하철역 경유 노선"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증가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승객 수 급감에 따른 경영 부도와 폐선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각 자치구는 전체 마을버스 249개 노선 중 175개 노선(70%)에 대해 평균 17%, 최대 30%까지 운행 횟수를 줄인 상태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최대 15분(영등포07·10·11, 서초20) 증가해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고 시는 덧붙였다.

 

시내버스 역시 상황은 좋지 않았다. 356개 노선 전체 시내버스의 지난 한 해 승객 수는 전년과 비교해 22.7%(3억3500만명) 감소했고, 마을버스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했던 3월과 12월에는 감소율이 각각 33.7%, 36.1%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연간 운송수입은 2758억원(22.4%) 줄었다.

 

유형별로(간선·지선·광역)는 광역 25.3%(400만명), 지선 23.5%(1억6300만명), 간선 21.9%(1억6600만명) 순으로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도심 업무지구와 남산, 고궁 같은 관광지를 경유하는 순환버스는 관광객 급감과 외출 자제 등의 영향으로 승객이 36.9% 줄었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업계와 자치구, 서울시가 고통을 분담해 서울버스 운영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국회와 정부 차원의 관심을 통한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서도 애쓰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