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성묘후 한잔 음복주도 주의..설 연휴 안전한 장거리 운전법은

설 연휴 음주운전과 중앙선 침법으로 인한 피해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묘 후 음복주도 사고 발생시에는 치명적이다. 교통 체증으로 인한 중앙선 침범과 같은 위반 행위도 자칫 큰 사고를 부를 수 있다. 자동차시민연합이 설 연휴를 맞아 안전한 운전법을 제안했다.

 

◆'한 잔만' 음주운전 조심

 

2017~2019년 설 연휴 보험사고 현황에 따르면, 설 연휴에는 음주운전과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피해자가 각각 26.3%와 2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묘 후 음복주도 음주운전 대상이며, 자칫 1~2잔도 면허정지(혈중알코올농도 0.03%)에 해당하기 때문에 운전과 술은 정확히 분리해야 한다.

 

연휴 중 오랜만에 만난 가족, 친지 등과 음주 후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고, 교통량 증가로 인한 정체 및 평상시와 다른 운전 환경으로 중앙선 침범과 같은 법규위반 행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자동차시민연합은 분석했다.

 

추위로 인한 차량 고장은 주로 ▲시동 불량 배터리 ▲외눈 등화장치 ▲타이어 공기압 불량 ▲물 부족 (부동액, 엔진오일, 워셔액)이 주원인이다. 특히 12월, 1월 보험사 긴급출동서비스의 절반 이상은 배터리 고장이다. 정체를 피해 새벽, 심야를 이용한다면 고장 난 외눈 전조등, 제동등, 방향지시등과 같은 등화장치도 꼭 점검하는 것이 안전하다.

 

◆스마트폰은 동승자에게

 

대형차 뒤를 따라가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것은 잘못된 위험한 상식이다. 대형화물차와 버스는 승용차와는 달리 에어브레이크를 사용하며 차량 무게와 덩치 때문에 순발력 있는 제동이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지정차로를 지키며 승용차와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주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지방도로에는 아직도 한파와 폭설로 인해 녹지 않은 눈과 결빙된 블랙 아이스 도로가 많다. 특히 정체를 피해 떠나는 새벽이나 심야시간대 시내 도로보다 약 5 정도가 낮은 터널 입출구, 교량 위, 강가, 산모퉁이, 그늘진 도로에는 부분 결빙된 블랙 아이스 도로를 조심한다. 일반적인 눈길과 달리 블랙 아이스가 덮인 도로는 색이 아스팔트와 비슷해 잘 보이지 않아 더 위험하다.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급제동, 급가속 과속도 위험하다.

 

장거리 운전자는 편한 옷과 신발을 준비하고, 졸음 예방을 위해 히터의 쾌적 온도는 21도~23도 정도 유지하고 1시간마다 1~2회 차내 환기를 해야 한다.

 

또 스마트폰의 사용은 동승자의 몫으로 맡기고 주행 중 불필요한 사용은 자제해야한다.

 

설 연휴 안전을 위해 임기상 대표는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은 오지만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휴게소에 잘 안들리는 상황"이라며 "졸음쉼터나 휴게소에서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차내 휴식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